약초 약재 산나물

연근의 효능

송파나루 2012. 3. 17. 20:37

연근의 효능

비타민 B12·철분 많아 염증치료에 효과

연근은 연의 땅밑 줄기를 이르는 말로 연못이나 깊은 논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수련과 연속의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여러 설이 있으며, 북아메리카 원산인 황화연(黃化蓮)과 동양 원산인 연(蓮)의 두 종으로 구분된다.

중국의 품종에는 지방백화종(支邦白花種)과 비중종(備中種)이 있다.

우리나라에 보급되어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것은 비중종으로 인도에서 유래한 종이다. 연근의 생육 온도는 20~30℃로 15℃이상의 평균 기온이 6개월 이상인 곳이 적합하며 참흙이나 질참흙이 적합하다.

약용

연근의 비타민 C는 레몬의 3분의 2에 이르며 세포들을 연결해주는 콜라겐을 형성하고 암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연근을 잘랐을 때 보이는 끈끈한 점성인 뮤틴은 단백질의 일종으로 자양 강장 작용을 한다. 불용성 식이 섬유가 풍부하여 혈압을 조절하고 변비에 좋으며 신체의 노폐물을 배출한다.

또한 신경 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생성하여 기억력 감퇴 억제 효과가 있으며 치매 예방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자른 단면이 까맣게 되는 것은 거품성분인 탄닌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강력한 소염 작용으로 염증을 없애고, 당뇨·위궤양·십이지장궤양·빈혈치료에 효과가 있다.

생으로 갈아서 먹으면 갈증해소 및 성장기 어린이에게 도움을 주고, 폐결핵, 각혈, 하혈 치료에 좋다. 연근을 달인 물은 입안 염증이나 편도선염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주요 영양소

연근의 성분은 수분이 80.2%이고, 당질이 15.6% 정도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아스파라제닉산(asparagenic acid), 아르기닌(arginine), 티로신(tyrosine) 같은 아미노산과 레시틴(lecithin)과 같은 인지질이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 B12와 철이 많이 들어있어 소염작용이 있으며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열매에는 라피노스(raffinose)가 들어있고, 비타민C, 아스파라긴이 들어있다. 또한 연밥은 자양강장, 피로회복, 정신안정에 유효하며 즙을 내서 먹으면 저혈압에 효과적이다.

요리방법

조림, 초절임, 튀김, 볶음 등으로 먹을 수 있다.

얇게 썰어 살짝 데쳐서 샐러드를 하거나 얇게 썬 것을 튀겨서 소금을 살짝 뿌리면 연근 칩이 된다.

※ 조리 포인트

연근을 너무 힘을 주고 썰면 갈라지거나 단면이 더러워지므로 칼끝으로 살짝 누르듯이 썬다. 단면은 변색하기 쉬우므로 썰자마자 식초 물에 담근다. 데칠 때도 식초를 넣으면 하얗고 깨끗하게 데쳐진다.

너무 많이 가열하면 연근 특유의 아삭한 맛이 없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연은 잎, 꽃, 열매, 뿌리 모두 약재나 요리에 사용한다.

좋은 연근 선별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연근은 인도에서 유래한 지나(支那)종으로서 한국종과 일본종이 이에 속한다. 한국종은 만생종으로 꽃이 담홍색이고 뿌리는 타원형이며 분질(粉質) ·다수성(多收性)이고 4~5월에 뿌리를 심어 9월 초순에서 이듬해 5월 상순까지 수시로 수확한다.

저장은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잘 밀봉하여 10℃ 이하로 보관한다. 상처가 없고 무거우며 옅은 주황색을 띤 것으로 모양이 굵고 길며 휘지 않고 곧은 것이 좋다. 표면이 건조하지 않고 잘랐을 때 속이 희고 부드러운 것이 좋다.

약효

⊙ 말린 분말을 뜨거운 물에 타서 마시면 딸꾹질이 멈춘다.

⊙ 열로 인한 갈증에는 껍질째 갈아서 짠 즙을 마시면 좋다.

⊙ 방광염으로 인한 혈뇨(血尿), 배뇨(排尿)시의 통증을 억제해 준다.

⊙ 연근은 각종 출혈증에 응용하면 효과가 좋고 특히 자양성을 지니고 있으며

독성이 없기 때문에 상용해도 무방하다.

⊙ 소염작용이 뛰어나 점막 조직의 염증을 가라앉혀 주므로 코피가 잘나는

사람이먹으면 효과적이다.

⊙ 특별한 부작용은 없지만 만성 설사증이 있는 사람은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 민간에서는 폐렴, 기관지 천식, 임질, 강장, 소화불량뿐만 아니라 독벌레에

물렸을 때 사용하기도 한다.

글 : 황 지 희

성신여대 박사과정 수료.

일본 아베노 츠지 조리학교 졸업.

‘몸에 좋은 음식물 고르기’ ‘똑똑하게 먹는 50가지 방법’ 외 다수의 음식 서적을 펴낸 식품영양학자

연근의 효능 www.정보24.kr

비타민C와 식이섬유가 듬뿍!

연근 건강법 10월∼2월이 제철인 연근은 비타민C가 듬뿍 들어 있는 건강식품이다. 100g당 포함된 비타민C는 귤의 1.5배나 될 정도이다. 불용성 식이섬유도 많아 변비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연근 속의 폴리페놀 성분은 염증을 진정시키고 지혈에도 좋다. 이처럼 다양한 효능을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해보자.

※ 연근의 영양 연(蓮)은 2,000년 전의 화석 씨에서 꽃이 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한 식물이다. 또한 수천 년 된 뿌리에서도 싹이 틀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수련과의 다년초인 연을 중국에서는 불로식(不老食)으로 취급하여 잎, 열매,

뿌리의 모든 부분을 약재로 이용해 왔다.

★ 다이어트에 효과

연근의 주성분은 당질이며 그 주체는 녹말이다.

녹말은 중요한 에너지 원으로서 당질 가운데서도 설탕보다 서서히 흡수되기 때문에 소화시간이 길어서 조금만 먹어도 배가 든든한 것이 특징이다. 또 천천히 흡수되는 만큼 인슐린 소비를 줄이기 때문에 비만 염려도적다.

★ 변비에 효과

연근은 식이섬유가 100g 중 2.5g 들어 있다.

수용성인 셀룰로오스도 많아서 연근을 먹으면 장벽이 자극을 받아 변통이 좋아진다. 또 연근의 불용성 식이섬유는 변비에 효과적이다.

★ 풍부한 비타민C 함유

연근에는 뿌리채소로는 드물게 비타민C가 풍부하다.

100g 중에 레몬 1개와 맞먹는 55mg의 비타민C가 들어있어 1일 필요량을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더구나 연근 속의 비타민C는 녹말로 보호 되어 있어 쉽게 파괴되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항산화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암작용, 항 스트레스 작용 등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 혈압 조절

연근에 들어 있는 미네랄의 약 절반은 칼륨이다.

예로부터 민간요법에서 혈압이 높은 사람에게 연근즙을 사용해 왔을 정도로 칼륨은 혈압 조절에 중요한 영양소. 따라서 고혈압 예방에도 좋다.

★ 해독작용

연근을 자르면 가는 실 같은 것이 엉겨서 끈끈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뮤신(mucin)이란 물질이다. 뮤신은 당질과 결합된 복합단백질로 세포의 주성분인 단백질의 소화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연근의 강장, 강정작용도 뮤신의 덕분이다.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이나 위벽 보호 작용, 해독작용도 있다.

★ 진정작용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잠을 못 이루는 사람에게 연근요리를 권해왔다.

아삭한 연근의 맛뿐만 아니라 연근에 들어 있는 갖가지 영양분이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 따라서 연근은 신경과민이나 스트레스성 불면증과 우울증 치료에 도움을 준다.

★ 성인병 예방

연근의 타닌 작용도 주목할 만하다.

연근을 잘라서 그대로 두면 자른 부분이 검게 되는데 이것은 타닌과 철분 때문. 타닌에는 강력한 수렴작용이 있으며 지혈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치질이나 궤양, 코피등으로 인한 출혈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 타닌은 지방 대사를 촉진하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성인 병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 고르기

연근은 귀찮더라도 썰어 놓은 것보다는 흙이 묻어 있는 것을 통째로 구입하는 것이 신선하다. 너무 가는 것은 섬유질이 억센 편이므로 어린아이 팔목 정도의 굵기에 되도록 흠집이 없는 것을 고르도록 한다. 수확한지 얼마 안 된 연근은 탱탱하다.

★ 손질하기

연근의 끈적, 끈적한 즙인 뮤신은 물에 녹아 버리기 때문에 연근을 데칠 때는 단시간에 살짝 데치는 것이 좋다. 또한 변색을 막기 위해서 식초를 넣고 삶으면 나쁜 맛도 빠지고 색도 깨끗해진다.

★ 보관하기

연근은 공기에 닿으면 산화하여 검어지기 때문에 자른면을 랩으로 싼 다음에 냉장실에 보관한다. 자르지 않고 마디 째로 보관할 때는 물에 적신 신문지로 싸서 비닐 봉지에 넣어 냉장 보관한다.

생활 속의 연근 건강법

보통 연근조림이나 정과등을 많이 해먹지만 연근의 다양한 효능을 즐기려면 즙이나 주스, 가루 등으로 만들어 먹는다. 크림으로 만들어 얼굴에 바르면 피부도 매끈거리고 진정작용도 한다.

생활 속의 다양한 연근 건강법을 소개한다.

▣ 연근 차

차에 쓰이는 재료에 따라 뿌리를 쓰는 연근 차와 연꽃을 쓰는 연화차가 있다.

신선한 연근을 물에 깨끗이 씻어 얇게 썰어 햇볕에 말린다. 연꽃은 반쯤 피었을 때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잘 마른 연근을 곱게 찧어서 가루 500g에 꿀 50g을 혼합하여 유리병에 넣어둔다.

연근 차는 강정·강장차로 유명하며 오래 마시면 피부가 고와진다. 만성 설사와 대하증에도 효과가 있으며 주독을 없애준다. 연꽃은 맛이 쓰고도 달며 독이 없어 심장을 진정하고 안색을 좋게하며 몸이 경쾌해진다.

▣ 삶은 연근 꿀 절임

평소 불면증이 심한 사람은 신선한 연근을 약한 불에서 푹 삶아 익힌 뒤 얇게 썰어서 꿀과 함께 자주 먹으면 정신을 안정시키고 잠이 잘 오게 하는 효과가 있다. 연근의 아삭함을 즐기려면 살짝 데쳐서 꿀에 재워도 좋다.

▣ 연근 죽

연근으로 죽을 쑤어 먹으면 혈액순환이 안되어 생긴 뭉친 피를 분산 시켜 혈액순환을 도우며, 소화력을 증진시키고 기분을 상쾌하게 한다. 또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에 효과가 있다. 연근 100g, 쌀 100g을 준비해 연근은 깨끗이 씻어서 얇게썰고 쌀, 설탕과 함께 죽을 끓인다. 아침과 저녁식사 대용 또는 간식으로 먹는다.

▣ 삶은 연근 반찬

연근은 탁월한 섬유질 때문에 해독음식으로 꼽히는데, 보통 조려먹는 방법 외에도 한번 삶아서 먹기 좋게 썰어 된장에 찍어 먹어도 별미다. 아삭아삭 씹히는 연근이 담백하고 깔끔해 반찬으로 손색없다.

▣ 연근 달인 물

연근을 껍질째 말려 얇게 썬 다음 물엿과 함께 달여서 하루에 세번 나누어서 마시면 심한 기침도 가라앉는다. 체질이 약하거나 피부에 윤기가 없을 때, 열이 나고 빈혈이 있을 때도 효과적이다. 달일 때는 물을 많이 넣고 오래 달여서 풀처럼 걸쭉할수록 좋다.

▣ 연근가루 꿀 절임

말린 연근을 가루 내어 꿀에 재웠다 차로 마셔보자. 피로회복에 탁월하다. 연근을 얇게 썰어 살짝 쪄내어 채반에 널어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바짝 말린다. 말린 연근은 분쇄기에 곱게 빻아 가루를 만들고 꿀에 재워 1주일 정도 두었다가 뜨거운 물을 타서 차처럼 마시거나 차가운 물을 타서 시원하 게 즐긴다.

▣ 연근 팩

진정효과가 탁월한 연근을 즙을 내어 상추즙, 밀가루를 섞어 팩을 하면 거칠어진 피부에 효과적이다. 상추 또한 진정효과가 탁월하므로 상호 상승 작용을 한다. 열이 오른 얼굴이나 기미 예방에 좋다. 연근, 상추를 잘게 썰어 간 다음 즙을 짜서 밀가루를 잘 섞어 만든다. 눈 주위를 제외한 얼굴에 펴 발라 15분 후에 미지근한 물로 씻어내고 마지막에 차가운 물로 마무리한다.

▣ 연근 진정크림

연근은 피부의 독소를 해독하고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장미오일과 섞어 크림으로 만들어 수시로 바르면 민감해진 피부를 가라앉힐 수 있다. 연근 5g, 올리브오일 10g, 장미 에센셜 오일 5방울, 물 5g을 준비한다. 껍질을 벗겨 얇게 썬 연근을 냄비에 넣고 물을 부어 약한 불로 뭉근한 상태가 될 때까지 끓인다. 여기에 올리브오일, 장미 에센셜 오일을 넣어 중탕해 크림상태로 만든다. 충분히 식힌 후 얼굴에 얇게 바르고 두드려 흡수시킨다.

▣ 연근 술안주

연근의 뮤신은 위벽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숙취 예방에 가장 좋은 식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술안주로 연근 조림이나 튀김 등의 연근요리를 준비하면 숙취를 예방할 수 있다. 술안주용이므로 간장의 양을 줄여 짜지 않게 만드는 것이 포인트.

▣ 연근주스

연근주스는 초기감기에 좋고 감기 후에도 계속 되는 목의 통증과 부종을 치료해준다. 깨끗이 씻어서 껍질째 강판에 간 다음 즙을 그대로, 또는 천에 짜서 먹는다. 연근 즙에 사과 1개를 갈아서 섞어 마시면 훨씬 마시기 쉬우므로 어린 이에게 좋다. 먹을 때는 되도록 연근주스가 목에 머무는 시간을 길게 한다. 단숨에 꿀꺽 마시면 효과를 볼 수 없다. 열이 나고 식욕이 없을 때, 목이 아파서 음식을 넘길 수 없을 때도 좋다.

▣ 연근 즙

연근을 강판에 갈 때는 껍질을 벗긴 다음 마디 부분도 버리지 말고 그대로 갈도록 한다. 연근 마디 부분에 각종 유효성분이 많기 때문. 이렇게 간 연근을 베 보자기로 꼭 짜 즙을 내서 먹으면 기침이나 천식 , 기관지염에 효과를 볼 수 있다. 어른은 소주잔으로 2잔, 어린이는 1잔을 먹는다.

기침이 심할 때나 설사를 할 때는 강판에 간 것을 짜지 말고 그대로 먹는다. 연근의 소염작용이나 수분대사를 촉진하는 작용 때문에 몸 속 물의 흐름을 좋게 하여 호흡기에 담이 드는 것도 해결해준다. 시간이 지나면 다갈색으로 변하므로 만들어 놓은 연근 즙은 5분 내에 먹도록 한다.

칼에 배어 피가 나거나 코피가 날 때 연근 즙을 탈지면에 적셔 막으면 지혈이 되고 버섯 독, 치질 출혈, 설사, 요통, 야뇨증에는 연잎을 달여서 마신다.

▣ 연근 양치질

달걀흰자는 목을 부드럽게 하고 기침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달걀흰자에 피로회복, 정신안정에 좋은 연근 즙을 섞어 양치를 하면 목감기에 좋다. 달걀 1개, 연근 중간크기 반 개 분량을 갈아 섞어 만든다.

연근의 민간요법

연근은 수련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학명은 Nelumbo nucifera , 생약명은 연(蓮)입니다.

열매는 9~10월경에 타원형의 수과가 까맣게 익는데 잎은 원형의 큰잎이 뿌리줄기에서 나오는데 자루는 잎뒷면의 중앙부에 달리며 가시같은 돌기가 있고 꽃잎과 더불어 수면 위에 떠서 펼쳐집니다.

연근에는 뿌리채소로는 드물게 비타민C가 풍부하여 100g 중에 레몬 한 개정도의 함유량인 55㎎정도를 가지고 있으며, 녹말로 보호되어 쉽게 파괴되지 않는 장점까지 가졌습니다.

혈압이 높은 사람에게 좋은 칼륨 함량도 높은 연근을 가르면 가는실과 같은 끈끈한 것이 보이는데, 이것이 뮤신(mucin)이란 물질로 당질과 결합된 복합단백질로 뮤신은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과 위벽보호, 해독작용도 있다.

또 연근을 잘랐을 때 검게 변하는 것은 탄닌성분과 철분 때문인데 탄닌에는 강력한 수렴작용과 지혈효과가 있어 치질이나 궤양, 코피, 부인과 출혈 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연의 부위별 효능을 자세히 살피면 연자에는 콩팥기능 보강, 불면증, 정력증강에, 연잎에는 설사, 두통, 어지럼증, 코피, 야뇨증, 산후어혈치료에, 뿌리에는 각혈, 토혈, 치질 등의 지혈효과에, 암술에는 이질치료 등에 효과가 있으며 예로부터 연은 차와 술로도 많이 이용되었는데, 뿌리로는 연근차, 꽃으로는 연화차, 잎으로는 하엽차를 만들어 음용했고, 연엽주라 하여 연꽃잎을 넣은 향기로운 술도 만들었습니다.

연근 이용한 민간요법

⊙ 고혈압 : 뿌리 30~5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

⊙ 구 토 : 뿌리 30~50g을 1회분 기준으로 푹 고아서 5~6회 그 물과 함께 복용

한다.

⊙ 비 염 : 뿌리 30~5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3~4회 복용하면서 코속에

생즙 2~3 방울을 떨어뜨린다.

⊙ 설 사 : 뿌리 30~5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 2~3회 복용

출처 : 1페이지 / 2페이지

요약

⊙ 열을 내려주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진정작용(신경과민이나 스트레스,

우울증에도 도움)이 있다.

⊙ 풍부한 무기질, 비타민C, 리놀레산, 식이섬유 등이 뼈의 생성과 촉진,

배설 촉진, 피부건강 유지에 효과가 있다.

⊙ 섬유질이 풍부해 소화기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콜레스테롤 저하에 효과가 있다.

⊙ 폐병, 빈혈, 하혈, 각기에 효과가 있다.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에 효과가 있다.

⊙ 몸에 독소를 빼주는 역할이 있어 특히 흡연을 하는 사람의 니코틴(담배의 독)

제거시켜 주는 해독작용이 있다.

⊙ 치질, 충혈, 설사, 야뇨증에 이용한다.

⊙ 연근은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 연근은 각종 독성물질에 대한 중화작용이 있다.

⊙ 연잎에는 간의 해독을 촉진시키는 단백질, 지질, 당질의 함량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 어떠한 출혈에도 연뿌리를 찧어 바르든지 마시면 지혈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칼에 베어 피가 나거나 코피가 날 때 연근즙을 탈지면에 적시어 막으면 지혈

작용을 합니다.

⊙ 천연 항산화제로 노화 방지와 불임 예방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E와 철분 함량이

높아 연뿌리로 죽을 쑤어 먹으면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에 효과가 있다.

⊙ 연잎을 차로 마실 경우 빈혈 예방에 효과가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

'약초 약재 산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궁합] 같이 면으면 해로운 음식  (0) 2012.03.17
감(잎)의 성분 및 효능   (0) 2012.03.17
굴의 성분과 효능  (0) 2012.03.17
겨우살이의 효능  (0) 2012.03.17
해조류의 효능  (0) 2012.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