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맥요혈과 뜸

건곽란 치료

송파나루 2010. 1. 3. 09:44

제목 :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건곽란이라는 것은 토하지도 않고 설사도 하지 않는 것이다.

○ 건곽란 때에는 갑자기 명치와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며 찌르는 듯이 아프며 토하지도 설사도 하지 않으면서 잠깐 사이에 답답해져 기절하게 된다. 이런 때에는 빨리 소금 끓인 물을 먹어 토하게 하고 곧 이중탕(理中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약재에 귤홍을 곱으로 넣어 쓰거나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약재에 육계, 벌건솔풍령(적복령), 지각, 모과를 더 넣어 달여 먹는다. 그리고 소합향원을 먹으면 더욱 좋다[득효].

○ 건곽란은 치료하기 어렵고 잠깐 사이에 죽는 일이 있는데 그것은 기가 오르내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먼저 토하게 하여 막힌 기를 통하게 해야 한다. 이때에는 성질이 찬약을 쓰지 말고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약재에 궁궁이(천궁), 삽주(창출), 방풍, 구릿대(백지) 등 해표시키는 약을 더 넣어 쓰고 강염탕도 겸해 쓴다[단심].

○ 교장사(絞腸沙)라는 것은 건곽란을 달리 부르는 이름인데 이때에는 참을 수 없이 배가 아프거나 손발이 싸늘하다. 그것은 뱃속의 장위(腸胃)가 비틀려서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빨리 소금 끓인 물을 먹어 토하게 해야 한다[입문].

○ 건곽란 때에는 기가 속에 막혀서 토하지도 설사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변질된 음식물은 정기를 막고 음기와 양기가 아래위로 막히게 한다. 그래서 번조증(煩躁證)이 나고 숨이 차며 배가 불러 올라 죽게 되는데 이때에는 빨리 토하게 하는 방법을 쓰고 위중혈(委中穴)에 침을 놓아 피를 빼야 한다. 그리고 치중탕(治中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나 곽향정기산을 겸하여 먹어야 한다. 그러면 반드시 낫는다[입문].

강염탕(薑鹽湯)

건곽란(乾 亂)으로 죽을 것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소금 40g, 생강(썬 것) 20g.

위의 약을 함께 빛이 변하도록 닦아 물 2잔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 두번에 나누어 먹는다[직지].

 

 

제목 : 곽란 때 토하게 하는 방법[ 亂吐法]

건곽란(乾 亂)으로 명치와 배가 찌르는 것처럼 아프고 답답하며 토하도 않고 설사도 하지 않으면서 숨이 끊어질 것 같을 때에는 몹시 짠 소금물을 뜨겁게 하여 2홉 반을 마시게 하고 목구멍을 자극하여 토하게 해야 한다. 토하지 않으면 다시 소금물 2홉 반을 마시어 두세번 토하게 하여 속에 있는 변질한 음식물이 다 나오게 해야 한다. 그러면 병이 낫는다. 이 방법은 다른 치료방법보다 매우 좋은 것이다. 토하기가 멎으면 이중탕이나 곽향정지산을 써서 잘 조리해야 한다[득효].

○ 또 한 가지 방법은 빨리 소금물 1잔에 생강즙을 넣어 단숨에 마시는 것이다. 그 다음 토하면 숨이 통하게 되는데 통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먹어 토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이어 찜질을 해야 한다[입문].

 

제목 : 곽란 때에 뜸을 뜨는 방법[ 亂灸法]

곽란 때에 힘줄이 뒤틀리고 병이 속으로 들어가서 손발이 싸늘하고 숨이 끊어지려고 할 때에는 소금을 배꼽 위에 놓고 장수(壯數)에는 관계없이 뜸을 뜨면 곧 낫는다[득효].

○ 곽란으로 거의 죽을 것같이 되었지만 뱃속에 더운 기운이 있을 때에는 위의 방법대로 뜸을 떠야 살아난다[의감].

○ 또한 기해(氣海)혈에 뜸 14장을 뜨는 것도 좋다[득효].

○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아 거의 죽게 되었을 때에는 천추(天樞)혈과 기해혈, 중완(中脘)혈에 뜸을 뜨면 낫는다[정전].

○ 곽란 때에 여러 가지 방법을 다 써보았으나 효과가 없을 때에는 대추(大椎)혈에 뜸을 뜨면 곧 낫는다[강목].

○ 곽란으로 거의 죽게 되었으나 더운 기운이 있을 때에는 승근(承筋)혈에 뜸 7장을 뜨면 곧 살아난다[강목].

 

출처 : 네이버 자료실

'경맥요혈과 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수혈  (0) 2011.04.22
수지침 상응도  (0) 2010.12.23
침과 뜸의 효능  (0) 2009.12.17
뜸의 임상 효과   (0) 2009.12.16
사암경(舍岩經)은 한반도 고대 침술이다  (0) 2009.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