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변과 더러운 변 깨끗한 변과 더러운 변 장수촌사람들의 변이 깨끗하다. 세상에는 다른 곳과 비교하여 분명히 고령이면서도 건강하게 살고 있는 사람들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이 몇 군데 있다. 병에 걸리는 사람도 적고 평균수명도 대단히 높은 지역인데 이런 곳을 여기서는 편의상 장수촌 이라고 하자. 대표적인 곳으.. 건강한 삶을 위한 정보 2010.06.21
느릅나무 느릅나무는 아름답고 깔끔한 인상을 주는 나무다. 느티나무와 닮았으며 산 속 물가나 계곡 근처에서 자란다. 그 껍질을 유피, 뿌리껍질을 유근피라고 한다. 느릅나무는 그 껍질이 상당히 질겨서 옛날에는 이 질긴 껍질을 꼬아서 밧줄이나 옷을 만들기도 했다. 느릅나무에는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다 .. 약초 약재 산나물 2010.06.13
오이풀 잎을 뜯어서 코에 대어 보면 오이 또는 수박 내음이 물씬 나는 풀이 있다. 진짜 오이보다 오이 냄새가 더 진하게 나는 이 풀이 바로 오이풀이다. 오이풀은 설사, 대장염, 출혈, 악창, 화상 등에 중요하게 쓰는 민간약이다. 특히 지혈작용이 강하여 갖가지 출혈에 피를 멎게 하는 데 많이 쓴다. 오이풀은 .. 약초 약재 산나물 2010.06.13
인동초 옛날 중국 안탕산에 약초를 캐는 한 노인이 있었는데 이름은 임동(任冬)이라고 불렀다. 그는 험한 안탕산을 마음대로 오르내리며 늑대, 호랑이 표범 등과 어울렸다. 어느 해 여름 안탕산 부근의 마을에 눈이 빨갛게 충혈되고 코와 입부터 시작해서 온몸에 고름이 나오게 되는 괴질 피부병이 유행했다. .. 약초 약재 산나물 2010.06.13
짚신나물 짚신나물 약명 ; 선학초 암세포는 억제하면서 정상세포는 더 잘 자라게 하는 작용이 있다. 영양이 풍부하고 당뇨병, 갖가지 출혈, 만성 대장염 등에도 쓴다. 약재에 대하여 짚신나물은 우리나라의 야산이나 길가, 들판 등에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써 선학초, 용아초, 황화초, 탈력초 등의 여러 이.. 약초 약재 산나물 2010.06.13
꼭두서니 [ 꼭두서니 ] 꼭두서니는 예부터 뿌리에서 붉은색 염료를 얻는 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꼭두서니 뿌리는 잇꽃과 함께 가장 중요한 빨간색 물감의 원료로 쓰였으나 광물성 합성 염료가 개발되고 나서부터는 전혀 쓰지 않는다. 꼭두서니는 꼭두서니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덩굴풀로 꼭두서니, 천초, 홍.. 약초 약재 산나물 2010.06.13
[스크랩] 계절별 산야초 종류 모음 봄철(4~5월): 새순, 잎, 꽃 쑥, 냉이, 민들레, 진달래꽃, 엄나무순(개두릅), 취나물(곰취, 참취, 개미취), 곰보배추, 홋잎나물, 찔레순, 돌미나리, 머위 고들빼기, 씀바귀, 느릅순, 참당귀순, 더덕, 둥글래순, 땅두릅. 도라지, 다래순, 솔순, 달맞이순, 돌나물, 달래, 민들레, 돌미나리, 머위, 미역취, 산뽕순, 비.. 일상의 관심 2010.06.13
싸리나무 소형, 모형, 형조, 녹명화, 야합초, 과산룡, 야화생, 등으로 쓴다. 싸리나무는 콩과에 딸린 잎지는 떨기나무다. 키가 2~3미터 자라고 지름은 2~3센티미터까지 자란다. 드물게 팔뚝만큼 굵은 것도 볼 수 있다. 잎은 세 개의 타원꼴로 된 쪽잎이고 연한 분홍빛 또는 연한 보랏빛 꽃이 9~10월에 피어 가을에 지.. 약초 약재 산나물 2010.06.06
애기땅빈대(비단풀) [ 비단풀 ] 비단풀은 대극과에 딸린 한해살이풀이다. 언뜻 보면 쇠비름을 닮았으나 쇠비름보다 훨씬 작다. 풀밭이나 마당, 길 옆에 흔히 자라지만 작아서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줄기는 땅바닥을 기면서 자라고 줄기나 잎에 상처를 내면 흰 즙이 나온다. 내금초, 점박이풀 등으로 부르고 .. 약초 약재 산나물 2010.06.04
오이 해열, 이뇨, 해독, 부종, 피부미용, 고혈압, 동맥경화, 기미, 주근깨, 여드름에 효험있는 오이 오이(Cucumis sativus Linne)는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의 열매이다. 인도가 원산지로 추정되고 있다. 고대 그리스, 로마에서 한때 귀중한 야채로 취급되었다고 전해진다. 오이는 기는줄기가 길게 .. 약초 약재 산나물 2010.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