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릅나무의효능♣
▶두릅나무(Japanese Angelica)
▶학명 : Aralia elata
▶분포 : 아시아
▶서식 : 양지바른 산이나 들
▶크기 : 약 3.0m~4.0m
▶꽃말 : 애절, 희생
♡두릅나무의 효능♡
▶한방에서는 생약의 총목피는 나무껍질을 말린 것이며,
열매와 뿌리를 해수 ·위암 ·당뇨병 ·소화제에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당뇨병에,신경쇠약,관절염,건위,이뇨,진통,수렴,거풍,강정등이며,
위궤양,위경련,신장염,각기,수종등에 사용한다.
▶요즘 방사능 오염예방에도 두릅이 효과가 있답니다.
♥두릅나무의 성질♥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약간 있다.
▶산기슭의 양지쪽이나 골짜기에서 자란다. 높이는 3∼4m이다.
▶줄기는 그리 갈라지지 않으며 억센 가시가 많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40∼100cm로 홀수 2회 깃꼴겹잎이며
잎자로와 작은잎에 가시가 있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상 달걀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다.
▶잎 길이는 5∼12cm, 나비 2∼7cm로 큰 톱니가 있고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색이다.
▶8∼9월에 가지 끝에 길이 30∼45cm의 산형꽃차례를 이루고
백색 꽃이 핀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10월에 검게 익으며,
종자는 뒷면에 좁쌀 같은 돌기가 약간 있다.
▶참두릅과 개두릅 새순 모두를 식용한다.
▶이른 봄에 움이 트기 전에 두릅순을 30센티 길이로 절단하여
땅에 꽃아 심으면 뿌리를 내리면서 두릅순을 채취할 수 있다.
♡두릅나무의 약용 방법♡
1.나무껍질이나 뿌리를 20~40그램
(신선한 것은 40~8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주의 사항으로 장복하면 독성이 발생한다.
▶두릅나무 <木頭菜(목두채)>
▶학명 : Aralia elata (Miq.) Seemann
▶과명 : 두릅나무과
▶성분 : 强心配糖體(강심배당체), saponin, 精油(정유) 및
미량의 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oleanol酸(산)의 배당체인 araloside A,B,C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잎에는 saponin이 들어 있고 aglycon은 hederagenin이다.
▶생지 : 자갈밭.토양은 토심이 깊고 토양습윤 조건이 적합한 곳에서 자란다.
▶분포 : 한국(전역), 일본, 만주, 아무르, 사할린
▶약효 : 補氣(보기), 安神(안신), 强精滋腎(강정자신), 祛風(거풍), 活血(활혈)의 효능.
消炎(소염), 이뇨, 驅瘀血藥(구어혈약)으로 응용되며 신경쇠약, 류머티성 관절염,
腎炎(신염), 肝硬變(간경변), 만성간염, 위장병, 당뇨병, 陽虛氣弱(양허기약),
腎陽不足(신양부족)을 치료.
▶개화 : 8~9월
▶번식 : 실생, 근삽, 분주등에 의한 번식을 하며 근맹아 분주 증식이 용이하다.
당뇨병, 신경쇠약, 관절염에 효험
▶두릅나무는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이다.
▶줄기껍질을 말린 것을 총목피라고 하며,
뿌리껍질을 말린 것을 총근피라고 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의 양지쪽 골짜기에 자란다.
봄철 올라오는 새순을 떼어내어 살짝 데쳐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기도 하고 나물로 무쳐 먹기도하는데,
산채 가운데 고급품에 속한다.
▶맛이 상큼하고 먹기에 좋다. 참두릅과 개두릅 모두 식용한다.
▶열매는 둥글고 크기는 3밀리 안팎인데 가을에 익으면 검게 변한다.
산행을 하다 두릅나무가 보이면 가시 때문에 피해갈 수 밖에 없다.
비닐 하우스에 재배된 것이 일찍이 시장에 나오는데,
야생 두릅이 효과 면에서 더욱 탁월하다.
▶이른 봄에 움이 트기 전에 두릅순을 30센티 길이로 절단하여
땅에 꽃아 심으면 뿌리를 내리면서 두릅순을 채취할 수 있다.
밭가나 담장 울타리에 심어서 매년 식용으로 먹기도 한다.
▶알려진 효능으로는 건위, 이뇨, 진통, 수렴, 거풍, 강정등이며,
위궤양, 위경련, 신장염, 각기, 수종, 당뇨병, 신경쇠약, 발기력부전,
관절염 등에 사용한다.
▶말린 약재 10그램정도를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성분은 스티그마스테롤, 알파-타랄린, 베타-사이토스테롤, 리놀레닉산,
페트로셀리디닉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두릅나무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두릅나무(Aralia elata Seemann)의 다른 이름은 참드릅나무이다.
식물은 높이 3~4미터 되는 잎지는 떨기나무이고 가시가 있다.
잎은 2번 깃처럼 갈라진 겹잎이고 쪽잎은 타원형이다.
7~8월에 작은 흰 꽃이 가지 끝에 모여 핀다.
8~9월에 보라색을 띤 검은색의 둥근 열매가 열린다.
▶잎이 둥근 것을 둥근잎두릅나무(var. rotundata),
잎에 가시털이 없는 것을 중(민)두릅나무(var. canescens)라고 한다.
각지의 해발 100~1,600미터 되는 산기슭, 산골짜기의 비옥한 곳에서 자란다.
껍질(총목피)은 봄과 가을에 뿌리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줄기껍질도 약재로 쓴다.
▶성분은 껍질에는 사포닌성 배당체인 아랄로시드(타랄린)가 있다.
아랄로시드 A는 녹는점 섭씨 195~196도, [α]20D -26.7도이고 물분해하면
올레아놀산과 포도당, 아라비노오스, 2분자의 글루쿠론산이 된다.
▶아랄로시드 B는 녹는점 섭씨 230도(분해), [α]20D -17.3도이고 물분해하면
올레아놀산과 포도당, 아라비노오스, 2분자의 글루쿠론산이 된다.
아랄로시드 C를 물분해하면
올레아놀산과 포도당, 아라비노오스, 글루쿠론산, 갈락토오스가 된다.
▶이밖에 올레아놀산, 정유 0.05퍼센트, 프로토카테킨산, 콜린이 있다.
또한 알칼로이드 반응에 양성인 물질이 있다.
사포닌은 줄기껍질보다 뿌리껍질에 많다.
▶씨에는 약 5퍼센트의 기름이 있다.
기름에는 페트로셀린산, 팔미트산, 리놀산, 페트로셀리딘산이 있다.
▶뿌리에는 스티그마스테롤, 탄닌질, 꽃이삭에는 크산틴, 구아닌,
어린싹에는 류신,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아스파긴, 알라닌,
티로신, 히스티딘 등이 많다.
▶작용은 뿌리껍질의 물 또는 알코올 추출물은 흥분작용이 있으며
메디날에 대한 길항작용과 함께 강심작용이 있다.
▶뿌리껍질 달임약(1:10)은 개구리에게 0.5~1밀리리터를 근육주사할 때
흥분작용이 있고 심장의 수축폭을 늘리며 심장율동을 느리게 한다.
70퍼센트 알코올로 우려낸 1:5 팅크로 0.1~0.2밀리리터를 주사할 때
위에서와 같은 작용이 있다.
▶독성(LD50)은 5.7g/kg(케르베르법), 1.2g/kg(베렌스법)이며
가시오갈피나무와 땃두릅나무껍질 14.5g/kg(베렌스법)보다 약하다.
▶두릅나무껍질의 치사량과 독작용의 비는 1:10이며
가시오갈피나무껍질, 땃두릅나무껍질보다 치료폭이 2~5배 넓다.
▶두릅나무껍질의 긴장작용 세기는
생쥐의 헤엄치는 시간을 잣대로 하여 비교할 때
가시오갈피나무껍질보다 100배나 세다.
▶두릅나무껍질은 급성 실험에서 혈압을 잠시 내리며
숨쉬기를 약간 흥분시킨다.
▶또한 고양이 심장에 대한 급성 실험에서
심장살의 긴장성을 높이고 심장 수축폭을 늘린다.
그러나 심장율동과 오줌량에는 ?痍피? 영향이 없다.
▶두릅나무껍질의 약리작용 성분은 아랄로시드이다.
아랄로시드(아랄로시드 A와 B의 혼합물)의 독성은 470mg/kg(케르베르법)이며
토끼의 적혈구에 대한 용혈지수는 1:10,000이다.
▶아랄로시드는 메디날에 대한 길항작용이 있으며 중추신경 계통을 흥분시키고
대뇌의 전기적 활성을 높인다.
심장수축을 세게 하며 양성변역성 작용과 음성변시성 작용이 있다.
숨쉬기에는 뚜렷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토끼의 귀핏줄을 수축하며 점막에 대한 국소자극작용은 뚜렷하지 않다.
▶임상 실험에 의하면 아랄로시드는 신경쇠약에 효과가 있다.
아랄로시드는 조식의 산화환원 과정과
부신피질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분비 기능을 높이며
유기체의 저항성과 백혈구의 탐식 기능도 높인다.
▶또한 치주조직층(치주염) 치료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혈당을 낮추는 작용도 있으며 혈당을 높인 흰쥐에서
β-리포프로테이드의 함량을 낮춘다.
▶응용은 몸이 쇠약할 때 특히 신경쇠약, 정신분열증, 저혈압에 쓴다.
고혈압에는 쓰지 않는다.
▶동의치료에서는 당뇨병에도 쓴다.
또한 오줌내기약으로 쓰며 이밖에 아픔멎이약으로
머리아픔, 산통, 대장염, 위궤양, 위암에 쓴다.
그리고 강장약, 열내림약, 땀내기약으로 쓴다.
월경이 없을 때에도 쓴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위장질병에 쓴다.
두릅나무껍질 달임약(6~10:200)은
일반허약, 신경쇠약, 정신분열증, 저혈압에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두릅나무껍질 유동엑스는 잘게 썬 껍질을 75퍼센트 알코올로 우린다.
추출액에서 알코올을 회수하여 1:1의 엑스를 만든다.
▶두릅나무의 향기와 쓴맛이 있는 누런 액체이며 비중은 0.91~0.93이고
증발 찌꺼기는 0.5~0.7퍼센트이다.
▶한번에 1.5~2밀리리터씩 하루 3번 물에 타서 먹는다.
달임약과 같은 목적에 쓴다.
▶사파랄(총배당체 80퍼센트 이상)은 미주 신경중추를 흥분시킨다.
신경쇠약, 심장신경증, 일반허약, 잠장애, 저혈압, 음위,
심장의 기능장애, 무력증 때 한번에 0.05그램씩 하루 2번 먹는다.
또한 정신 및 육체적 피로의 예방과 치료에도 쓴다.
▶두릅나무 팅크는 두릅나무뿌리껍질 250킬로그램,
알코올 770리터, 한번에 30~40방울씩 하루 3번 먹는다.
신경쇠약, 정신분열증에 쓴다.
▶참고로 사파랄(총배당체)만드는 법은
뿌리껍질가루 1킬로그램을 10리터의 클로로포름으로 2시간 데워 우린다.
찌꺼기에 7배량의 메탄올을 넣고 1시간 우린다.
이렇게 4번 우린다.
▶5번째로 우려낸 것을 첫번째의 우림용매로 쓴다.
▶메탄올 추출액을 합하고 용매를 회수한 다음
찌꺼기를 1리터의 물에 풀고 2N 염산으로 pH 4가 될 때까지 둔 다음
섭씨 80도 아래에서 감압으로 졸인다.
▶찌꺼기를 300밀리리터의 메탄올에 풀고
1.5리터의 초산에틸에 잘 섞으면 앙금이 생긴다.
앙금을 200밀리리터의 초산에틸로 씻고 섭씨 60~70도 에서 말린다.
▶거둠률은 7퍼센트이다.
요즘에는 잎을 총배당체 원료로 이용한다."
▶북한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약간 있다.
기와 신을 보하고 정을 불려주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또 풍을 없애고 혈을 잘 돌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강장작용, 중추신경흥분작용, 강심작용, 혈당량감소작용,
방사선병 예방치료 작용 등이 밝혀졌다.
▶독성은 인삼이나 가시오가피보다 약 10배나 세다.
기허증, 신경쇠약, 관절염, 당뇨병, 심장신경증, 정신분열증,
저혈압, 위암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때는 짓찧어 붙인다.”
▶안덕균씨가 지은 <한국본초도감>에서는 두릅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두릅나무를 생약명으로 자로아(刺老鴉)라고 한다.
두릅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 두릅나무의 뿌리 껍질과 나무 껍질이다.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보기안신, 강정자신, 거풍활혈의 효능이 있어
기운이 허약하고 신경쇠약이 있을 때 쓰며,
풍습성관절염에 진통, 소염 작용을 나타낸다.
▶콩팥 기능 허약으로 양기가 부족하고
때로는 다리에 힘이 없으면서 보행 장애가 있을 때에 유효하다.
▶당뇨병에 혈당을 내린다. 성분은 강심 배당체, 사포닌, 정유 등이 확인되었다.
▶잎에는 hederagenin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로 항피로 작용이 있으며,
면역 기능 항진, 중추 신경 흥분, 혈압 강하 등의 작용을 나타낸다.
▶주의 사항으로 장복하면 독성이 발생한다.
▶기타 봄에 나온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두릅이 당뇨병 치료에 효험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두릅나무껍질과 뿌리껍질은
오래전부터 당뇨병, 간장질병, 위염, 위궤양 등에 사용되어 왔는데
최근 어느 한 나라의 과학자가 두릅순에 있는 '에리토사이드'라는 물질이
당흡수억제작용이 높다는 것을 밝혀냈다.
▶두릅순에서 '에리토사이드'를 추출하여 만든 알약을 먹은 사람들속에서
혈당값이 내려 가고 간기능도 회복되었으며 비만도 훨씬 줄어 들었다.
▶대체로 사용하기 시작한지 한두달 지나서부터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두릅나무 줄기 껍질과 뿌리껍질은 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성분은 강심 배당체, 사포닌, 정유 및 미량의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뿌리는 araloside A, araloside B, araloside C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모두 oleanolic acid의 glycosides이다.
▶잎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는데 aglicon은 hederagenin이다.
▶약리 작용은 오가과 드릅나무속의 식물은 인삼과 비슷하여
적응원 아답토겐 작용이 있다.
▶그러나 독성은 인삼, 가시오가피 등의 10배 전후이다.
맛은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약간의 독이 있다.
기를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정을 강하게 하고 콩팥을 자양하며
풍을 제거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다.
▶신경 쇠약, 류머티스성 관절염, 당뇨병 및 양허기약, 신약부족 등을 치료한다.
봄에 채취한 샘플의 혈당 강하 작용은 강하지만 가을에 채취한 것은 효과가 없다.
또한 항방사선 작용이 있다.
▶감초 및 감초사심탕 및 보중익기탕은 그의 독성을 약하게 하며
아울러 두릅나무의 사하 작용을 경감시킨다.
감초에 진피, 목향을 배합하면 반대로 그 독성을 증가시킨다.
쥐에 대한 잎의 독성은 뿌리의 2배이다.
출처:다음
출처 : 심형보의 세상 살아가는이야기
글쓴이 : 느티나무♣ 원글보기
메모 :
'약초 약재 산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당근의효능 (0) | 2013.05.19 |
---|---|
[스크랩] 엄나무(개두릅)의효능 (0) | 2013.05.19 |
[스크랩] 블루베리 효능 (0) | 2013.05.19 |
[스크랩] 호두의 효능 (0) | 2013.05.19 |
[스크랩] 은행의 효능 (0) | 201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