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금의 효능
세계 10대 식품으로 선정되고 생로병사에 방영된 울금(강황).
위와 간등에 아주 좋고 암 예방에 좋다고 알려 졌습니다.
또 찌게 끓일때, 생선 구울때, 모든음식 조리시, 첨가하면 비린내가 나지않고 음식이 아주 맛 있습니다. 울금주도 담그고, 울금차도 아주 좋고, 물 끊여 드실때 함께 끓여 드셔도 좋습니다.
약리작용
뿌리줄기의 가루나 달인액은 이담작용, 위액분비 촉진작용, 이뇨작용, 해독기능, 열물의 분비 및 배설을 촉진합니다. 그리고 간세포의 재생촉진 작용을 합니다. 이런작용은 울금의 주요성분인 커큐민 유사물질과 정유의 작용에 의한 것입니다. 커큐민은 또한 강한 억균작용도 있습니다. p-토릴메틸카르비놀은 진성 이담작용이 있는 천연 화합물로서 알려진 간염 치료약 입니다.
정유는 또한 억균력이 강하며 담석을 녹이는 작용을 합니다. 뿌리줄기의 추출물은 임상실험에서도 만성간염, 담낭염, 담도질병, 담석증등에 좋은 치료효과가 있다고 밝혀 졌습니다. <네이버 지식>
울금 다이어트
울금은 카레의 주 재료 성분으로 노란빛을 띠는 것이 특징.
울금은 다이어트에 좋고 피부에도 좋다. 쓴맛이 나는 울금을 손쉽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은 두유를 한컵 따른 후 울금가루를 한 티스푼 넣고 섞어주면 전혀 쓴맛은 느껴지지 않고 효과는 그대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울금 두유는 숙변제거에도 아주 좋은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
⊙ 식물학명 : Curcuma long L
⊙ 영어학명 : Turmeric[타메릭크]
⊙ 원 산 지 : 열대 아시아 지역인 인도 대륙으로 알려져 있다.
⊙ 생 약 명 : 울금(鬱金), 을금(乙金), 옥금(玉金), 심황(深黃) 등...
⊙ 울금의 역사 : 인도에 아리아계 민족이 이주하기 시작한 기원전 2000~1500년
경에 재배하기 시작해 약재, 염료, 조미향신료 등 여러 가지로 이용 되었다.
고대 중국과 유럽제국에도 알려져 귀족과 왕족의 건강음료와 차로 이용 되었다.
또한, 고대 그리스의 디오스콜데스가 지은 약물지(藥物誌)와 고대 로마의 유명한 박물학자 프리니우스의 약물지(藥物誌)에도 울금에 관하여 상세히 기록되고 있을 만큼 중요한 약재였다.
항암, 항염작용으로 TV에 자주 등장하는 울금은 이미 조선조 초기 구례, 낙양, 순천에서 재배됨이 -새종실록지리지- 기록되여있다.
이보다 조금뒤에 쓰여진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순창, 곡성, 임실, 광양, 동북에서도 재배됨이 기록되여있다.
임진왜란때 일시 재배가 중단 되고. 일본이 이 시기에 우리나라에서 종자를 약탈해 가져가 재배하기 시작했다.
그후 비옥한 토질과 온화한 기후 조건으로 진도에서 현재까지 재배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 비가림 하우스를 이용한 재배법이 개발되여 서울 이남 전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함이 입증 되었다.
그 외에도 구약성서의 야곱이 이집트를 떠날 때 비상약으로 지참하였으며, 마르코폴로의 [세계의 서술]에서 울금의 발견에대해 상세히 기록되고 있다.
♣ 울금의 생태 : 울금의 원산지는 아시아의 열대지방으로 추운기후에 약하다.
추위에 상당히 약하기 때문에 10˚c 이하에서는 부패해 버린다. 울금은 꽃은 피어도 과실은 열리지 않기 때문에 씨앗의 역할을 하는 것이 뿌리이다. 이뿌리가 추위에 약하기 때문이다. 재배하고자 하는 지역의 기온이 상당히 중요시 된다. 이른봄에 뿌리를 나누어 파종하면 1~2m까지 자라며 월동을 시키면 이듬해 6월~8월에 꽃이 핀다. 뿌리를 약으로 쓴다.
♣ 울금의 효능 효과 : 카레의 주 재료인 울금에는 황색색소 Curcumin을 비롯해서 Turmerone, zingiberene, 담즙분비작용이 있는 PTMC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
최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를 종합하면 간장해독촉진, 담즙분비촉진, 담도결석 제거, 강심, 이뇨, 항출혈, 항균, 항궤양, 혈중콜레스테롤 억제 등이 알려졌고 간염, 특히 만성 C형, 담도염, 황달, 위염, 생리불순, 고혈압, 동맥경화 등에 대한 효능과 항암, 항균, 항당뇨에 대한 기대가 크다.
또 노화나 만병의 근원인 활성산소의 제거나 항산화작용에도 주목되는 약초이다. 인도의 65세이상 노인인구중 울금을 카래등으로 상시 음용하는 군에서 치매가 발견되지 않아 치매 예방의 특효약으로 주목 받아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 울금 고서자료 ◑
동의보감 - 심황이라는 항목으로 설명
⊙ 기를 소통시키고 울체된 것을 풀어주며, 피의 열을 내려주고 어혈을 치료한다.
⊙ 흉부와 복부, 옆구리에 통증이 있을 때 효과가 있다.
⊙ 열병에 의한 정신혼미, 토혈, 코피, 혈뇨, 황달 등을 치료.
⊙ 급체, 치질 등에 쓰임
본초강목 - 기가 떨어지고 혈액이 막힌 곳 조정 “모든 질병을 치료” 하는 한방으로 기록.
한국 연구 현황
⊙ 고신대 암연구소 ‘쿠루쿠민 성분 암세포 억제효과’ 발표
- 구자영 소화기내과교수팀 -
⊙ 美 암학회 ‘젊은 과학도 4년 연속 수상’ 서울대약대 박사과정 천경수씨
- 울금 주요성분의 항암 작용 발표 -
⊙ 한국생약협회학술대회 - 영남대학 김정아 논문.
울금의 건강 효과
울금의 성분으로 대표적인 크루크민을 시작해 울금에는 1000 종류 이상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주된 것을 이하에 정리했습니다.
① 간기능 강화(크루크민)
② 담즙 분비 촉진(이담)작용, 선어 기생충 아니사키스의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타메론)
③ 이담작용, 건위 · 살균 · 방부 효과(시네올)
④ 항암작용의 활성(실험적으로 확인), 요도결석 · 동맥경화에 유효(α-크루크멘)
⑤ 항암작용의 활성(실험적으로 확인)(크루크모르)
⑥ 종양에 대해서 증식을 억누르는 활성(실험적으로 확인)(β-에레멘)
⑦ 담관에 있는 담즙을 배출하는 작용(파라·메치트르이르카피노르)
⑧ 염증이나 궤양을 고치는 작용(아즈렌)
⑨ 강심 작용(캄파-)
▣ 울금 음용방법
⊙ 울금을 끓여 마시는 방법
생울금 껍질을 벗긴 후 잘 세척한 후 슬라이스로 얇게 잘라서 성인 1인 기준 생울금 10g에 물 400ml~600ml에 끓여서 우려내서 식수 대용으로 마신다.
⊙ 생울금 뿌리를 먹는 방법
생울금을 씻은 후 믹서나 강판에 갈아서 성인기준 식 후 1일 3회, 1회 3g씩 1일 10g이내로 생으로 먹는다. 개인의 기호에 맞게 우유나 두유 등에 혼합하여 마시거나 여러가지 방법으로 혼합하여 음용해도 무방하다.
⊙ 울금 엑기스 이용 방법
생울금을 세척 후 생울금 1:1 설탕 또는 꿀과 혼합하여 3개월 이상 냉암소에 저장하면 울금 엑기스가 나온다. 엑기스와 적당량의 냉수와 혼합하여 음용한다.
⊙ 울금주 이용 방법
생울금을 세척 후 생울금 500g, 소주 1.8리터, 설탕 50g과 혼합하여 3개월 이상 냉암소에서 숙성 후 음용하면 좋은 울금주가 됩니다.
⊙ 울금차로 마시는 방법
생울금의 껍질을 벗긴 후 슬라이스 해서 생울금 1:1 꿀 또는 설탕과 혼합하여 3~4일 후에 커피 스푼으로 2~3스푼을 넣고 끓여 마시면 좋다. 갈아서 꿀 혹은 황설탕 으로 혼합 하여 보관합니다.
⊙ 울금밥 : 밥 + 울금
⊙ 국이나 찌게 요리할때.
울금 음용시 주의사항
⊙ 임산부는 음용을 삼가해 주세요.
⊙ 정해진 양만 음용 1일 10g 초과 음용을 금합니다.
⊙ 보관은 냉장보관 하십시요.
⊙ 울금 원향이 부담스러우시면 우유, 두유나 요구르트등에 혼합하여 드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www.baramarea.com/gnuboard4/bbs/board.php?bo_table=comm_1&wr_id=171/ulgeum.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99
1. 울금의 주요성분과 약리작용
뿌리줄기의 가루나 달인액은 동물실험에서 이담작용, 위액분비 촉진작용. 이뇨작용, 해독작용 열물의 분비 및 배설을 촉진한다.
그리고 간세포의 재생촉진 작용을 한다. 이런작용은 울금의 주요성분인 커큐민 유사 물질과 정유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커큐민은 또한 강한 억균작용도 있다.
p-토릴메틸카르비놀은 진성 이담작용이 있는 천연 화합물로서 알려진 간염 치료약이다.
정유는 또한 억균력이 강하며 담석을 녹이는 작용을 한다.
뿌리줄기의 추출물은 임상실험에서도 만성간염, 담낭염 담도질병, 담석증 등에 좋은 치료효과가 있다고 밝혀 졌다.
☆ 커큐민 (Curcumin) : 간기능 강화, 담즙 분비 촉진,
위궤양 원인균 (피료리균) 살균, 이담작용.
이뇨작용, 암예방, 항암, 멜라닌 색소 방지.
☆ 메치돌 이루 카비놀 : 간기능 향상, 담즙 분비 촉진
☆ 투메론 : 담즙 분비 촉진, 이담, 항균, 살균, 항암 작용
☆ 아즐렌 : 항염, 항궤양, 건위, 종양개선, 위 십이지장 궤양 치료
☆ 캄파 : 강심, 건위, 살균, 항균
☆ 미네올 : 위 소화 효소 분비 촉진, 살균, 항균, 이담 작용
☆ 강심제 : 강심제, 건위, 살균, 방부작용
☆ 팔라듐, 메치르톨, 이르카르 비노르 : 담즙 배출촉진, 간기능 강화
☆ 후라보노이드 : 모세혈관 보호
☆ a-크루크멘 : 이담작용, 고혈압, 담관결석, 고지혈증, 동맥경화 예방개선,
항콜레스테롤
☆ b-에레멘 : 종양 증식 억제
☆ 크루클 모를 : 항 종양 작용, (중국 - 자궁경 암의 치료)
☆ 무기영양소 : 영양소 대사 촉진
☆ 식물섬유 : 장운동 활성, 억균작용, 다이어트 등 100여가지 성분 함유
2. 인체내 기관별 효능 www.정보24.kr
위장 - 위산분비 조절, 위염, 건위, 위궤양
간장 - 담즙분비 촉진, 간기능 향상, 황달, 담낭결석, 담관염, 간염 등
자궁 - 생리불순, 월경통, 자궁근종, 산후복통, 우월경
심장 - 동맥경화, 혈행활성, 관상동맥 반괴형, 성감소, 강심작용, 고혈압
기타 - 항산화작용 : 노화예방, 향염, 항균작용 등등이다.
1. 항산화작용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2. 해독작용
glutathione을 독소 물질과 conjugation 시켜서 체외로 배설시키는 작용을 하는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화 도움을 준다.
3. 간기능개선 및 보호
콜레스테린을 용해하고 담즙 분비와 담낭수축을 촉진하며, 동물실험결과 아플라톡신B1으로 유도한 래뜨의 간손상(지방산변화, 세포괴사)을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항염증작용
염증 전구체인 아라키도닉산의 생산을 차단시켜 준다.
5. 항암작용
쿠르쿠민의 암 예방효과는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를 통해 잘 알 수 있는데, 쥐를 가지고 실험했을 때 쿠르쿠민의 활동이 발암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종양의 형성을 억제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또 다른 연구들은 쿠르쿠민이 신생혈관의 형성을 억제해서 종양의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봉쇄하는 효과를 보여준다.
3. 한방에서의 울금
성질은 차고 맛도 맵고 쓰며 독이 없다.
약재로 혈적(血積 : 어혈이 적제됨) ,하기(下氣 : 기를 아래로 내림)를 치료한다.
성미(性味)는 심장, 폐, 간에 응용된다.
또한 울금은 모든 혈증 치료에 쓰이고 최근에는 암치료의 보조제, 간장염, 담석증, 요혈 등에 쓰인다.
⊙ 기를 소통시키고 울체된 것을 풀어주며, 피의 열을 내려주고 어혈을 치료한다.
⊙ 흉부와 복부, 옆구리에 통증이 있을 때 효과가 있다.
⊙ 열병에 의한 정신혼미, 토혈, 코피, 혈뇨, 황달 등을 치료한다.
⊙ 음허실혈과 기체혈어자, 임산부는 주의해서 사용한다.
⊙ 급체, 치질 등에 쓰임
⊙ 기가 떨어지고 혈액이 막힌 곳 조정 “ 모든 질병을 치료” 하는 한방으로 기록.
4. 현대 의학에서의 울금
1. 노인성 치매예방 효과가 있다.
2. 특히 대장암 위암 페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
3. 백혈병 고혈압을 예방한다.
4. 흡연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한다.
5. 알콜성 간질환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6. 살빼기에 효과적이다.
7.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작용이 있다.
8. 성인병을 예방하는 작용이 있다.
2002년 세계보건기구(WHO)의 자료에 의하면 카레 섭취율이 높은 인도인의 암 발병률이 미국의 암 발병률의 1/7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카레의 주원료인 울금의 커큐민이라는 성분 때문이라고 한다.
서울대 약학대 서영준 교수는 카레의 주성부인 커큐민이 암으로 진행하는 염증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암과 대장암 등 암을 예방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세계 의학계에서는 지금 카레를 주목하고 있다.
카레를 매일 먹는 인도인의 치매 발생률도 세계에서 가장 낮다.
울금 카래를 상시 음용하는 인도의 65세 이상 노인 중에서 치매가 발병되지 않아 치매에 특효약으로 주목받고 있다.
2001년 미국 신경학회지에 의하면 인도 사람들은 미국 사람들에 비해 알츠하이머의 발병률이 4분의 1에 불과하다고 한다.
미국 UCLA의 그레고리 콜 박사는 쥐 실험을 통해 커큐민이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 축적되는 독성 단백질을 분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치매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출처 : http://cafe.naver.com/foronelif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