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철쑥(인진, 더위지기) ]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은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쑥속은 북반구에 약 250여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25종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몽고, 시베리아, 인도,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되어 있다. 쑥속을 뜻하는 학명 'Artenisia Linné'의 뜻에 관해서 'Artenisia'는 '부인병에 유효하다'는 뜻으로 그리스 신화의 'Artemis(Diana)' 여신을 기념하여 'Linné'가 명명하였다고 한다.
사철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
다른 이름: 더위지기, 인진
식물: 높이 약 6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2번 깃처럼 깊이 갈라졌고 갈라진 조각은 실 모양이다. 가을철에 가지 끝에 직경 2~3mm의 둥근 꽃이삭을 이루며 핀다.
각지의 개울가나 바닷가의 모래땅에 자란다.
전초: 꽃이삭이 달린 윗가지를 베어 그늘에 말린다.
성분: 전초와 꽃이삭, 씨, 선열매에는 6, 7-디메틸에스쿨레틴, 카필라린, 스코폴린, 스코폴레틴이 있다. 뿌리에는 이눌린, 탄닌질, 수지, 0.1%의 정유, 전초에는 0.23%~1%의 정유가 있다. 정유에는 아그로피렌 1.8%, α-피넨, 카필린(녹는점 81℃), 카필론 C12 H12, 카필렌과 이소쿠마린인 카필라린이 있는데 주성분은 카필린이다.
어린싹에는 스코폴레틴, 꽃필 때의 잎에는 2%까지의 대메틸에스쿨레틴이 있다. 씨에는 0.5%의 6, 7-디메틸에스쿨레틴, 열매에는 약 1%의 정유가 있다. 정유의 주성분은 카필린, 카필렌, 카필론이다. 이처럼 생육 시기에 따라 쿠마린과 정유 조성이 크게 다르다.
작용: 전초의 물 추출액과 디메틸에스쿨레틴은 개에게 정맥주사할 때 열물의 분비를 뚜렷하게 늘린다. 그리고 집토끼의 떼낸 장과 새끼집의 운동을 억제 한다. 정유는 여러 가지 미생물 특히 피부병원성 사상균에 대한 센 발육억제 및 살균작용이 있으며 카필린은 400만 배의 희석용액에서도 피부병성 진균인 티리코피톤이 자라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무좀균에도 센 살균작용이 있다. 쿠마린 화합물은 아픔멎이, 항염증작용이 있다.
인진호탕은 열물분비(담즙분비=쓸개즙분비)가 병적인 환자에게서 열물분비를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인진호탕을 이루고 있는 동약의 이담작용은 인진호(사철쑥)에서 약하고 장군풀뿌리와 산치자에서 없거나 약하지만 이것들을 배합한 처방은 센 이담작용이 있다.
응용: 중국과 일본에서 인진호라 하여 염증약, 오줌내기약, 열물내기약으로 발열성 황달, 간염, 콩팥염 등에 쓴다.
사철쑥 달임약(10~20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사철쑥에 대해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인진호(茵蔯蒿)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의 어린싹이다.
성미: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효능: 청열(淸熱), 이습(利濕), 퇴황(退黃)
해설: ① 습열(濕熱)로 인한 황달로 열이 나고 전신황색, 소변이 붉고 적은 증상, 즉 급성 간염에 탁월한 반응을 보인다.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암에도 좋은 치료제이다. ② 담낭염, 담낭결석에도 활용되며, ③ 습진, 옴, 버짐, 풍진 등의 피부 질환에도 널리 활용된다.
성분: scoparone, 6-7-dimethoxy coumarin, β-pinene,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capillin, capillene, capillarin 등이 알려져다.
약리: ① 인진의 여러 제제들은 담즙 분비를 촉진시키고 ② 실험성 간염에 간 기능 보호작용이 현저하며, 특히 간세포의 재생 작용이 탁월하다. ③ 지질의 분해 작용, 관상 동맥 확장 작용과 혈압 강하 작용이 나타나고, ④ 해열, 이뇨 작용이 있다. ⑤ 항미생물 작용이 있어서 결핵균, 디프테리아균, 탄저균, 티푸스균, 이질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고, ⑥ 실험성 복수암 세포에도 억제 효과를 보인다.
임상보고: ① 전염성 간염에 1회 40~6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자 해열 및 간(肝) 용적 축소와 효소의 활성 반응이 나타났으며, ② 인진 80g, 대추 18개를 넣고 달여서 복용하자 심장 율동 이상에 좋은 반응을 보였다. ③ 고(高) 콜레스테롤 환자에게서 콜레스테롤치 강하 작용을 보였고, ④ 휘방성 정유 성분들은 피부진균 억제 반응을 나타냈다.]
'약초 약재 산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용 (0) | 2010.01.27 |
---|---|
대추의 한방적 효능 (0) | 2010.01.24 |
헛개나무(지구자나무) (0) | 2010.01.12 |
봉숭아, 봉선화 (0) | 2009.11.03 |
[스크랩] 토사자 효소담기 (0) | 2009.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