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Panax ginseng C.A.Meyer
분류 두릅나무과
자생지 깊은 산의 숲속
크기 높이 60cm
깊은 산의 숲속에서 자라며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높이 60cm이고 줄기는 해마다 1개가 곧게 자라며 그 끝에 3∼4개의 잎이 돌려난다.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5개로 갈라져서 손바닥 모양 겹잎을 이룬다. 작은잎은 바깥쪽의 것이 작고 가운데 3개는 길이 4.5∼15cm, 나비 3∼5.5cm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가는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의 맥 위에는 털이 있다.
여름에 1개의 가는 꽃자루가 나와서 그 끝에 4∼40개의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의 작은꽃이 산형꽃차례에 달린다. 꽃잎과 수술은 5개이며 암술은 1개로 씨방하위이다. 열매는 핵과로 편구형이고 지름 5∼9mm이며, 성숙하면 선홍색으로 되고 가운데에 반원형의 핵이 2개 있다.
뿌리는 약용하며 그 형태가 사람 형상이므로 인삼이라 한다. 인삼은 예로부터 불로·장생·익기(益氣)·경신(輕身)의 명약으로 일컬어진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인삼의 뿌리는 비대근(肥大根)으로 원뿌리와 2∼5개의 지근(支根)으로 되어 있고 미황백색이다. 지근의 수는 토질·이식방법·비료·수분 등에 의해서 차이가 있으나 분지성이 강한 식물이며 그 뿌리의 형태는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고 수확은 4∼6년근 때에 한다.
홍삼의 원료로 쓰이는 것은 모두 6년근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구)한국담배인삼공사에서 6년근만을 홍삼의 원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6년근의 동체는 길이 7∼10cm, 지름 2.5cm 내외이고 뿌리 길이는 34cm, 무게 80g 정도이며, 6년근 이외 4, 5년근으로도 홍삼을 제조하고 있다. 인삼은 매년 땅속줄기에서 싹이 나오고 가을에는 줄기와 잎이 고사(枯死)하는데 고사한 줄기의 흔적이 남아 인삼의 년수를 알 수 있다.
한국에서는 1908년 탁지부 사세국 삼정과에서 홍삼전매제를 실시한 이후 약 100년간 전매품으로 취급되다가 1996년 7월 1일 폐지되었다.
한약재라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약재가 인삼이다. 인삼은 정기를 보강하고 몸에 진액을 만들고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전한다. 몸이 허약하고 피곤을 잘 느끼는 사람과 식사량이 적고 권태의 증상에도 응용된다. 오장의 기를 모두 보하며 오랜 병으로 기가 쇠약해진 사람이나 위급한 증상 모두에 응용되며 비위의 기가 허약하며 폐기가 부족한 증상, 정신이 불안한 증상등에 이용하며 다량의 출혈이 있거나 너무 많이 토하여 기가 빠져나간 위급한 증상에도 응용된다.
인삼은 생약명으로 인삼이라 하며 다른 이명으로는 토정(土精), 혈삼(血蔘), 신초(神草)라고 한다. 전국에 분포하며 농가에서 재배를 한다. 약효는 뿌리에 있고 5월에서 10월(산삼), 8월에서 10월(재배삼) 사이에 채취하여 날것 또는 건조를 하거나 쪄서 쓴다. 성미는 따뜻하며 달고 쓰다. 독성은 없다.
가을에 잎과 줄기가 시들어 땅속줄기에 매년 나이의 흔적을 남긴다. 4~6년생을 대칼로 캔다. 약으로 쓸때는 생식하거나 환, 산제, 고제, 탕제로 쓴다. 술을 담아서 쓰기도 한다.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달며[甘](약간 쓰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주로 5장의 기가 부족한데 쓰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눈을 밝게 하며 심규를 열어 주고 기억력을 좋게 한다. 허손된 것을 보하며 곽란으로 토하고 딸꾹질하는 것을 멎게 하며 폐위(肺�)로 고름을 뱉는 것을 치료하며 담을 삭힌다.
찬(讚)에는 “세가지 다섯 잎에 그늘에서 자란다네, 나 있는 곳 알려거든 박달나무 밑 보라네”고 씌어 있다. 일명 신초(神草)라고도 하는데 사람의 모양처럼 생긴 것이 효과가 좋다.
산삼은 깊은 산 속에서 자라는데 응달쪽 박달나무나 옻나무 아래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인삼 가운데는 하나의 줄기가 위로 올라갔는데 마치 도라지(길경)와 비슷하다. 꽃은 음력 3-4월에 피고 씨는 늦은 가을에 여문다. 음력 2월, 4월, 8월 상순에 뿌리를 캐어 대칼로 겉껍질을 벗긴 다음 햇볕에 말린다.
인삼은 좀이 나기 쉬운데 다만 그릇에 넣고 꼭 봉해 두면 몇 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또는 족두리풀(세신)과 같이 넣어서 꼭 봉해 두어도 역시 오래도록 변하지 않는다.
쓸 때에는 노두(蘆頭)를 버려야 하는데 버리지 않고 쓰면 토할 수 있다[본초].
인삼은 폐화(肺火)를 동하게 하므로 피를 토하거나 오랫동안 기침을 하거나 얼굴빛이 검고 기가 실하며 혈이 허하고 음이 허해진 사람에게는 쓰지 말고 더덕(사삼)을 대용으로 쓰는 것이 좋다[단심].
인삼은 쓰고[苦] 성질이 약간 따뜻한데[微溫] 5장의 양을 보하고 더덕은 쓰고 성질이 약간 찬데 5장의 음을 보한다[단심].
여름철에는 적게 써야 한다. 그것은 심현이 생기기 때문이다[본초].
여름철에 많이 먹으면 심현이 난다[단심].
인삼은 수태음경(手太陰經)에 들어간다[탕액].
심현 : 명치 밑이 그득하고 아픈 것.
약성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독이 없다.
약효 :대보원기(大補元氣), 개탈생진(固脫生津), 안신(安神)에 효능이 있다. 노상허손(治勞傷虛損), 식소(食少), 권태, 반위토식(反胃吐食), 대편활설(大便滑泄), 허해천촉(虛咳喘促), 자한폭탈(自汗暴脫), 경계(驚悸), 건망증, 현훈두통(眩暈頭痛), 양위(陽衛), 빈뇨(頻尿), 소갈(消渴), 자궁출혈,소아만경(小兒慢驚), 구허불복(久虛不複), 일절기혈진액부족(一切氣血津液不足)에 치료한다.
더위 타는병 위궤양(인삼) 허약체질(인삼) 위근쇠약증(인삼) 십이지장궤양에 특히 효과가 있다.
채집시기/산지 :일반적으로 재배 4∼7년 후, 가을에 잎과 줄기가 마르면 채취한다. 야생삼은 중북부의 고산에 분포하며, 장뇌산삼은 전국의 고산에서 모두 재배하고 일반 삼은 강화, 김포, 풍기, 금산 등지에서 대량으로 재배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재배하는 실정이다.
가공 :인삼은 포제 방법에 따라 부르는 호칭이 달라지는데 그냥 채취된 그대로를 일반적으로 인삼이라 칭하며, 껍질을 벗겨내고 건조시킨 것이 백삼, 인삼의 질이 반투명이 될때까지 2~3시간 쪄서 말린 것을 홍삼이라고 부른다.
주의 :몸에 열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과 음기가 부족하여 기침이나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있는 사람은 복용하지 않는다. 여로와 같이 사용하면 부작용이 생기기 때문에 여로와는 같이 사용하지 않는다. 인삼을 복용할 시에는 인삼의 머리 부분은 토하게 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제거하고 복용한다.
저혈압 :인삼 보드랍게 가루 낸 것을 한번에 3g씩 하루 3번 먹는다. 강장보혈작용, 혈압이 높은 때에는 내리게 하고 낮을 때에는 오르게 하는 혈압조절작용이 있다.
기허로 인한 수족냉증 :인삼이 잘 맞는다. 인삼을 달이되 마치 고약처럼 끈적거릴 때까지 졸인 인삼고(人蔘膏)를 하루에 차 수저로 10스푼 정도 꾸준히 복용하면 효능을 볼 수 있다.
각혈 :뿌리 15~30g또는 뿌리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또는 산제로 해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주침해서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강심제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강장보호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강정(强精)과안정(安靜)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5~7일 복용한다. 복용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건망증(健忘症)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건비위(健脾胃)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과민성 대장염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 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관절냉기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는 사람은 신중히 사용해야한다.
구토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 한다. 주침해서도 복용 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냉병 :뿌리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찹쌀을 한웅큼 넣고 죽을 쑤어 1일 2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당뇨 :뿌리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개월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맹장염(盲腸炎)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백일해(百日咳)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변비(便秘)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해거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보신 :뿌리 1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부인붕루(婦人崩漏)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 한다.
불임증 :뿌리 1~2개를 1회분 기준으로 밥에 넣고 쪄서 1일 2~3회씩 밥과 함께 20일 이상 먹는다.
빈혈(貧血)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산후각기(産後脚氣)와 부종(浮腫)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설사(泄瀉)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소화불량(消化不良)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신경쇠약(神經衰弱)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신경통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신진대사촉진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해서 1일 2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심장병(心臟病)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암(癌)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로 하여 1일 2회 이상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인삼에는 암제어 작용이 있고 면역력을 높이며, 백혈구수를 증가시켜 준다.
야뇨(夜尿)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산제 또는 고제(졸여서 굳힘)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양신(養腎)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나 산제 또는 고제로 하여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오심(惡心) :뿌리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3~5회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원기회복(元氣回復)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인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위염(胃炎)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3~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음위증 :뿌리 1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산제 또는 고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계속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고삼 ,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상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이뇨(利尿)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이완출혈(弛緩出血)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3~4회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환자는 신중히 사용한다.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뿌리 1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산제 또는 고제로 하여 1일 2~3회씩 7~10일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정력증진(精力增進)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조갈증(操喝症)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산제 또는 고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고삼,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종독(腫毒)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복용한다.
주체(酒滯)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지구역(持嘔逆)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차멀미 :인삼 2뿌리를 생식한다.
천식(喘息)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체력보강(體力補强)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20일 이상 복용한다.
토사 곽란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감초,백출,인삼을 10g씩 넣고 끓인 후 국물을 복용한다.
토혈과 각혈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파상풍(破傷風)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암이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편도선염 :뿌리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피로회복(疲勞回復)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하나.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행혈(行血)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허약체질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중에는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현기증(眩氣症) :뿌리 24~30g을 1회눕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혈변(血便)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4~5회씩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중에 복령, 쇠붙이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식욕부진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 쇠붙이 도구를 금한다. 고혈압 증세가 있으면 신중히 사용한다.
비듬 :생강을 짓찧어 즙을 낸 것에 인삼가루를 넣어 개어서 머리에 바른다 하룻밤 자고 나서 마침에 머리를 감는다.
산삼
산삼(山蔘)이란 산에 저절로 자라는 다년생 초본식물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인삼(人蔘)의 뿌리이다. 적응증이나 효능은 인삼과 비슷하나 약 효과가 더 좋다. 높이는 60센티미터에 달하며, 원뿌리는 비대하고 육질이며 원기둥 모양이고 대개 갈라져 있는데 뿌리의 윗부분에서 갈라져 있는데 뿌리의 윗부분에서 갈라진 것을 영체(靈體) 혹은 횡체(橫體)라고 하고 분지되지 않았거나 아랫부분의 끝에서 분지된 것을 '분체(笨體)' 혹은 '순체(順體)' 라고 한다. 수염뿌리는 길고 작은 알갱이가 많이 있다. 근경에는 줄기의 흔적이 있으며 때로는 몇 개의 엇뿌리가 나 있다.
줄기는 직립하고 녹색이며 가는 원기둥 모양이고 반들반들하며 털이 없다. 잎은 줄기 끝에 돌려나는데 잎의 갯수는 자란 햇수에 따라 다르다. 갓 나온 잎은 3출 겹잎이 1개이고 2년생은 5출 손바닥 모양 겹잎이 1개이며 3년생은 2개의 5출 손바닥 모양 겹잎이고 4년생은 3개로서 해마다 늘어 가는데 마지막에는 5개까지 늘어난다. 잎은 긴 자루를 가지고 있고 작은 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거꿀달걀꼴이다. 겹잎의 기부에 있는 작은 잎은 약간 작아서 길이는 2~3센티미터, 너비는 1~1.5센티미터이고 윗부분의 작은 잎은 길이는 4~15센티미터, 너비는 2.2~4센티미터이다. 선단은 점차 뾰족해진 모양이고 기부는 쐐기 모양인데 하부로 연장되었으며 잎의 가장자리에는 가는 톱니가 있고 윗면의 잎맥에는 직립하는 뻣뻣한 털이 나 있는데 밑면에는 없다. 작은 잎자루는 길이가 2.5센티미터이다. 줄기 꼭대기의 잎자루의 가운데서 길이가 7~20센티미터인 총꽃대가 뻗어 나와 그 끝에 산형 화서를 이루며 연한 황록색의 작은 꽃이 십몇 개 내지 몇 십개가 있다. 보통 4년째부터 꽃이 핀다.
꽃은 꽃대가 있고 양성(兩性)과 웅성(雄性)이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개이고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5개이고 씨방은 밑에 위치하며 2실이다. 암술대는 2개이며 양성화에서는 이생(離生)하고 수꽃에서는 융합되어 속이 빈 원통 모양으로 되어 있다. 장과 모양의 핵과는 신장형이며 익으면 선홍색이 된다. 각 실마다 종자가 하나씩 들어 있다. 종자는 백색이고 편평한 달걀 모양이며 한쪽은 끊어진 듯이 편평하다. 꽃은 6~7월에 피고 열매는 7~9월에 익는다.
깊은 산속 북향, 북동향, 북서향쪽 활엽수가 자라는 반그늘 습지에서 자란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산에서 조건이 맞으면 자라며 대부분 재배를 많이 한다. 산에서 야생한 것은 야산삼(野山參)이라 하고 재배한 것은 원삼(圓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의학상 약명의 하나. 산에 자연적으로 나는 인삼(人蔘)으로, 적응증이나 효용은 인삼과 비슷하나 약효과가 월등 하다.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비, 폐경에 들어가며 원기를 많이 보하여 주고 보비익폐(補裨益肺), 생진지갈(生津止渴), 안신증지(安神增智)한다. 기허욕탈(氣虛欲脫)이나 피를 많이 흘린 후나 토하고 설사를 많이 하고 혹은 비기부족으로 권태감이나 무력감, 식욕부진, 상복부 팽만감, 더부룩하고 토하고 설사하거나 혹은 폐기가 약하여 숨쉬기가 가쁘고 행동에 힘이 없고 동측기천(動則氣喘)을 치료하거나 진액이 상하여 입에 갈증이 있을 때 사용한다.
산삼은 천종, 지종, 인종, 장뇌 이상의 4가지로 분류한다.천종, 지종, 인종은 야생삼으로 조류가 종자를 먹은 뒤산속에 배설하여 자생한것을 말하며 장뇌삼은 산삼의 종자를채취하여 깊은 산속에 씨를 뿌려 야생상태로 인위적으로재배한 산삼을 말한다.
장뇌삼은 깊은 산속 그늘진 박달나무나 옻나무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고 하였으며 절반정도 그늘지고 외진 곳에서만 자란다.
일반적으로 야생삼의 종자를 뿌려도 싹이 잘 나오지 않으며 땅속에서 없어진다. 설사 자란다고 해도 몇 년을 넘기지 못하고 썩어 없어지기 쉽기 때문에 장뇌삼의 귀함은 말할 나위도 없다.
항당뇨작용, 항암작용, 심장강화 및 혈압조정, 간기능강화, 위장기능강화, 스트레스해소 및 강장효과, 체력(정력)증진, 뇌기능강화, 노화억제, 방사선조사 방어작용, 빈혈 회복 효과 및 조혈작용, 면역기능 증진, 소염작용, 허약체질개선 등이 있다. 삼은 사람의 막힌 기를 뚫어 순환시켜주는 효과가 있고, 흔히 알려진 정력제나 장수약은 아니라고 한다.
복용법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통째로 생식하거나 꿀을 함께 먹으면 더욱 효과를 볼 수 있다.
술에 담궈 복용시에는 산삼 크기 만한 병에 삼개월 이상 시일이 지난 후 복용한다.
복용시 금기음식
미역, 다시마, 파래, 생선회, 살코기, 개고기, 녹두 음식등....
복용 후 증상
산삼의 효과로 발열증세 또는 졸음이 올 수 있다.
주의 :실증(實證), 열증(熱證)에는 쓰지 않는다.
1, <신농본초경집주>: "복령을 사약으로 하고 수고를 꺼리며 여로에 반한다."
2, <약대>: "오령지를 삼가고 조협, 흑두를 꺼리며 자석영을 총하게 한다."
3, <약성론>: "마란을 사로 하며 소금을 꺼린다."
4, <의학입문>: "음이 허하여 기침이 나며 토혈하는 환자는 신중하게 써야 한다."
5, <월지인삼전>: "철기를 금해야 한다."
6, <약품화의>: "비위가 실열하고 폐가 화사를 입어 기침이 나며 가래가 많은 환자, 실혈 초기, 흉격이 아프면서 답답한 환자, 가슴이 막히고 변비가 있는 환자, 충이 있고 적이 있는 환자는 모두 사용하면 안 된다."
임상보고
1, 구급 처방에 이용한다.
2, 심혈관 계통 질병의 치료
3, 위와 간장 질환의 치료
4, 당뇨병의 치료
5, 정신병의 치료
6, 신경 쇠약의 치료
7, 음위의 치료
산삼의 약리 작용
당뇨
혈당치를 저하시키는 아드레날린과 인슐린생성에 영향을 주는 작용을 하므로 당뇨병에 치료효과가 탁월하다는 것이 임상실험으로 입증됨
간 질환
인삼의 사포닌의 생리학적 효과로 인해 급. 만성감염성 감염환자의 간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켰다.
(도나예프스키-소련) 산삼은 간의 기능을 도와주고 각종 간 질환(간염, 간경변, 간암 등)을 회복시키는 효능이 탁월하므로 간장보호를 위하여 평소에 복용하면 매우 좋다.
혈압
산삼은 콜레스테롤의 대사를 조절하고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며, 심장기능을 강화시켜 고혈압, 저혈압의 증세를 정상화시키는 탁월한 효능이 있다.
항암 효과
'산삼'과 천화분(天花粉)을 함께 복용하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이 생긴다. 자궁암세포의 발육저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부인병
산삼은 부인들의 냉증, 월경과다, 자궁출혈 및 산후, 다산에 의한 신경쇠약 등에 극히 효과적이며 피부미용과 모발에도 효능이 탁월하다.
조혈 작용
혈행을 좋게 하고 조혈작용을 한다. 빈혈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게 인삼 엑기스는 빈혈을 막아주며 인슐린분비를 촉진시킨다. 따라서 '당뇨병'에 치료효과가 탁월하다는 것이 임상실험으로 실증되어 있다.
노화 방지
간 기능, 신 기능, 심 기능을 높이며 노화물질의 축적을 억제하고 피로를 회복 시켜주며 지질의 과산화를 방지해주는 말톨(Maltol)이라는 새로운 성분은 노화방지에 크게 효능이 있다.(한병훈 박사)
위장병 치료
위궤양의 원인이 되는 위산이나 펩신의 분비물을 억제하는 자율신경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류머티즘 치료
항 류머티즘 활성 성분으로 인해 말단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행을 좋게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함으로 전신에 산소와 영양분을 원활히 하므로 류머티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정력 증진
연발성 음위환자 에게 효능이 있다. 남성불임환자에게 운동 정자수를 증가시킨다. 여성 불임증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기자끼박사-일본)
두뇌의 활동을 촉진시키며 눈을 맑게 한다. 학습률 이 향상되며 정신적인 안정성을 더해준다. 사포닌 중진 세노 사이드는 기억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사또박사- 일본)
인삼은 대뇌피질의 교감신경계를 매개로 망막혈관의 세동맥을 선명하게 이안 시키는데 효과가 있다.(지라노파 박사)
심 장
인삼의 사포닌은 심장의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며 동물의 심맥계에 대한 약리 작용을 강화시켜준다.
기 타
효능 소화촉진, 만성위장 장애에 효능이 있으며 체력과 생명력, 저항력이 증가된다. 피로해소, 심신피로회복, 술(알콜)에 대한 저항력 강화에 탁월하다.
'약초 약재 산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아그라보다 좋은 양파 (0) | 2008.05.25 |
---|---|
양파 (0) | 2008.05.25 |
당귀 (0) | 2008.05.25 |
백선(봉삼)- 알레르기 (0) | 2008.05.25 |
감나무 (0) | 2008.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