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을 위한 정보

라이너스 폴링 박사가 밝히는 비타민 C의 신비

송파나루 2014. 2. 28. 11:34

라이너스 폴링 박사가 밝히는 비타민 C의 신비

 

2013/07/02 21:01

 

라이너스 폴링 교수는 노벨상을 2번 받은 미국의 화학자이다. 1954년에 화학상, 62년에는 평화상을 수상하였다. 양자역학의 원리를 화학결합에 관련지어 분자구조에 관한 연구에 적용한 최초의 한 사람이었다. 노벨 평화상은 핵무기에 관한 국제적 통제와 핵실험 반대운동을 한 공로로 받았다. 노벨상을 2번 받았다는 것 외에도 그는 과학자와 평화주의자 집단에서 널리 인정받았고, 미국과 외국의 많은 대학에서 객원교수를 지냈다. 주로 과학적인 주제를 가지고 1000편 이상의 논문과 책을 펴냈다.

 

그는 분자생물학과 분자의학의 창시자로서 명망을 얻고 있다. 현 과학자들이 뽑은 지금까지 살아왔던 가장 위대한 과학자 20인 중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찰스 다아윈, 아이작 뉴튼과 함께 라이너스 폴링이 들어 있다. 양자역학, 핵물리학, 엑스레이 결정학, 광물학, 야금술, 구조화학, 유기화학, 생화학, 면역학, 분자 생물학, 분자의학, 혈색소병(hemoglobinopathy), 암의 영양학적 치료 등 여러 분야에서 그의 발견은 전설적으로 알려져 있다.

 

 92년의 생애 동안 70년 이상을 과학자로서, 연구자로서, 발견자로서 보냈다. “비타민 C와 일반 감기1970년에 발행된 이후 세계인들은 비타민 C에 관해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다음은 오래 전에 쓴 비타민 C에 관한 라이너스 폴링 박사의 보고서이다. 비타민 C를 건강보충제로 복용하는 사람들에게 참고가 되길 바란다.

 

 

 

 

 : 라이너스 폴링 박사

 

나는 25년 전에 비타민과 건강에 미치는 비타민에 대해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로부터 우리는 여러 가지 사실들을 밝혀내게 되었다. 가장 큰 발견이라 할 만한 것은 생명유지에 필요한 영양소의 분량인 1일 권장량(RDA)과 최적의 요구량 사이의 차이점이었다.

 

 

일반적으로 , 비타민은 독성이 낮아서 대부분 1일 섭취 허용량의 천배까지 섭취해도 죽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 옛날의 의사들과 영양학자들은 비타민도 과복용할 때는 심한 부작용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를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주장이 옳다는 것을 증명할 만한 연구 결과가 없다는 사실이다. 비타민 C는 거의 모든 동물이 자체적으로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다른 비타민과는 다르다.

 

모든 동물의 99.9%가 자체세포로 아스코르빈산(비타민 C의 별칭)을 만들어 내며 보충제는 거의 필요가 없다. 쥐나 개, 고양이용 먹이를 보면 어느 것에도 비타민 C는 들어있지 않다. 큰 박쥐, 모르모트, 영장류와 인류는 비타민 C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유일한 동물들이다. 연어와 같은 물고기와 붉은 주둥이의 나이팅게일과의 새들에게도 비타민 C가 필요하다.

 

예로 인류, 원숭이 그리고 모르모트는 자체적으로 비타민 C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 그렇다면 비타민 C를 만들어내는 동물들은 얼마나 많이 그것을 만드는가? 에 대한 물음이 나올 수 있다. 그것이 최적의 분량이란 어느 정도인지 알려 줄 것이다.

 

 

이 분량은 체중에 균형이 맞아야 하며 따라서 작은 동물은 조금을, 큰 동물은 양적으로 많이 필요하다. 동물들이 만들어내는 분량과 동량의 비타민을 먹고 그것을 사람의 키에 맞게 전환 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체중이 68kg인 사람이라고 해보자.- 하루에 비타민 C 12,000mg이나 12g이 될 것이다. 이것은 인간에게는 1일 허용량의 200배가 되는 것이다.

 

 

원숭이의 먹이에는 인간의 음식물보다 50배가 많은 비타민 C가 들어있다는 것은 꽤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실험용 동물로서 원숭이를 기르고 있는 사람들은 원숭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비타민 C를 공급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숱한 실험 끝에 이들은 원숭이의 최적 섭취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냈다. 그러나 인간에게는 그런 실험을 한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통제된 환경에서 남녀를 두고 여러 종류의 검사를 해 보면서 장수에 미치는 비타민 C의 양을 알아보고 어떤 종류가 질병발생 빈도가 가장 낮았는지 알아보는 것은 비실용적이다.

 

나는 매일 18g의 비타만 C를 복용하고 있으며 아스코르빈산과 나트륨 아스코르빈산염의 형태로 동량을 먹는 것을 좋아한다. 이것은 아스코르빈 팔미틴산이라 부르는 지용성 형태의 비타민 C와는 다르다.

 

 

이에 관심이 커진 일부 사람들은 아스코르빈 팔미틴산을 복용하기도 했는데, 이는 팔미틴산이 지방에서 수용성으로 변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지용성 항산화제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비타민 C의 일종을 만들어내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나는 지용성 항산화제로서는 비타민 E를 섭취하고 수용성 항산화제로서는 비타민 C를 생각하여 섭취하는 것이 더 좋은 판단이라고 본다.

 

 

이 두 개의 비타민은 비타민 E가 산화되어 그 수치가 낮아져 비타민 C를 다량 섭취하고 있다면, 비타민 C는 비타민 E의 산화진행을 막게 된다는 점에서 다소 상호교환성이 있다. 이것은 산화된 비타민 E를 효과 좋은 지용성 항산화제의 상태로 돌려준다.

 

비타민 C는 또한 대개의 동물들의 욕구가 음식으로 섭취되는 것으로는 만족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른 비타민과 구별된다. 그들은 체내에서 다른 비타민 C를 만들어야 한다. 인간과 기타 영장류동물은 스스로 비타민 C를 만드는 능력을 잃었다. 사실 모든 동물들이 생기고 나서 아주 초기에 모든 다른 비타민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잃어버렸다.

 

내가 지난 25년간 수정해 가며 보충제에 쏟은 노력은 인간에게 비타민 C와 기타 비타민 종류의 최적의 섭취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발견하는 데로 향해졌다. 내가 깨달은 한,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비타민 C는 많이 복용할수록 , 건강상태는 더욱 더 좋아진다는 것이다. 비타민 C를 여분으로 조금 더 섭취하면 그로 인해 나타나는 효과는 아주 긍정적이다.

 

 

*비타민 C의 효과에 대한 연구 및 조사

 

나는 영국의 의학지 란세트(The Lancet)에 실린 새로운 연구를 읽었다. 그 연구에서는 노인들에게 보통 비타민제를 복용하게 하였더니 복용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건강이 훨씬 좋아졌음을 밝혀냈다.

 

즉 비타민 C 60mg을 더 추가 섭취했을 때 이 노인들의 건강이 뚜렷한 호조를 보였다는 것이다. 나의 개인적 느낌으로는 600mg을 복용하면 건강이 크게 향상될 거라고 본다. 그리고 1일 권장량의 1000배에 이르는 6000mg까지 섭취할 경우는 그만큼 확실히 좋아진다.

 

현재, 비타민 C 와 혈액 속의 지질 성질에 대한 약 250건의 임상논문들이 나왔다. 비타민 C의 콜레스테롤치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80여 논문이 나왔다. 콜레스테롤치가 낮고 비타민 C를 권장량 이상으로 복용한 사람들은 그들의 콜레스테롤치는 정상치로 증가시키는데 용이하다는 것을 발견한 논문들도 많다. 0.1리터 당 150~170mg로 콜레스테롤치가 정상인 사람들은 비타민 C를 더 섭취해도 변화가 없었다. 콜레스테롤치가 높은 사람은 비타민 C 추가섭취로 정상치로 떨어졌다.

 

*비타민 C와 감기

 

비타민 C와 감기1970년 간행된 후 피실험자들에게 하루에 비타민 C 1g이나 위약을 제공한 38건의 임상실험이 이루어졌다. 38건 중에 37건은 보통감기의 발생빈도가 위약그룹과 비교해 볼 때 비타민 C그룹에서 크게 줄어들었다는 보고를 했다.

 

이 연구들에서 비타민 C6~12주간에 걸쳐 제공되었다. 모든 사람들은 비타민 C를 정규적으로 보충해 먹은 것이 좋다고 계속 권장하고 싶다. 감기 초기증상에서는 비타민 1~2g을 복용하고 증세가 가라앉을 때까지 30분이나 1시간마다 그만큼씩 계속 복용하도록 한다.

 

 

*비타민의 효율적인 보충섭취에 대한 라이너스 폴링의 총람

 

-비타민 C: 13g~18g

 

-비타민 A: 베타 -카로틴의 형태로 130,000~40,000 IU

 

-B (티아민) :  1일 30mg

-B2  (리보플라빈) :  1일 30mg

-B6  (피리독신) :  1일 50mg

-B12  (시아노코발라민) :  1일 75mg

-비타민 E: 1800 IU

 

폴링은 적절한 비타민 보충이 질병예방과 건강유지의 측면에서 꼭 필요하며 오히려 경제적인 조치라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