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Alt](http://www.nature.go.kr/images/common/bul_01.gif) |
개화기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
![noAlt](http://www.nature.go.kr/images/common/bul_01.gif) |
꽃색 |
|
|
![noAlt](http://www.nature.go.kr/images/common/bul_01.gif) |
잎 |
|
엽초는 얇은 막질로 짙은 적갈색이다. |
|
![noAlt](http://www.nature.go.kr/images/common/bul_01.gif) |
열매 |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1.8~2mm로서 부풀은 렌즈형이고 황갈색이 난다. |
|
![noAlt](http://www.nature.go.kr/images/common/bul_01.gif) |
꽃 |
|
화경(花莖)은 높이 50~90cm, 지름 3-4mm로서 둥글며 흑록색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격막이 있다. 꽃은 7~10월에 피고 화수는 원주형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2~4cm, 직경 3~5mm로서 황록색 또는 볏짚색이다. 인편은 좁은 타원형이며 길이 6-8mm로서 끝이 둥글고 뾰족하며 중륵이 뚜렷하지 않고 뒷면에 뚜렷하지 않은 맥이 있다. 암술대는 압축된 삼각형으로서 밑부분이 뚜렷한 반상체로 되며 수과보다 4~5배정도 길고 끝이 2~3개로 갈라진다. 화피열편은 침형이며 5-7개로서 수과보다 2.5배정도 길다. |
|
![noAlt](http://www.nature.go.kr/images/common/bul_01.gif) |
줄기 |
|
줄기는 둥글며 속이 비어있고 마디가 있으며, 마디마다 격막으로 막혀 있다. 줄기색은 녹색이 나며 싱그럽다. 기타 형태는 꽃대와 비슷하다. |
|
![noAlt](http://www.nature.go.kr/images/common/bul_01.gif) |
뿌리 |
|
근경은 길게 뻗고 그 끝에 직경 5~8mm정도 되는 괴경이 달린다. 줄기 밑부분에서는 많은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어있다. |
|
![noAlt](http://www.nature.go.kr/images/common/bul_01.gif) |
원산지 |
|
한국 |
|
![noAlt](http://www.nature.go.kr/images/common/bul_01.gif) |
분포 |
|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
|
![noAlt](http://www.nature.go.kr/images/common/bul_01.gif) |
형태 |
|
수생 숙근성 다년초 관경식물이다. |
![noAlt](http://www.nature.go.kr/images/common/bul_01.gif) |
크기 |
|
화경(花莖)은 높이 50~90cm, 지름 3-4mm. | |
(올방개의 효능)
올방개는
혈압을내리고 고혈압,기관지,치질출혈등에 처방된다고 나와 있는데요~
향기가 있으며, 달고 담백한 풍미가 있어 생식 혹은 찌거나, 구워서 먹을 수 있으며 괴경으로부터 전분을 만들어 먹으면 위장이 튼튼해진다고도 하네요.
그리고 또한 민간요법으로 술마시고 취한데 올방개 괴경을 갈아마시면 술이 금방 깬다고도 합니다
약용으로는 황달(黃疸), 건위(健胃), 해열(解熱), 이뇨(利尿), 통경(通經), 어혈(瘀血) 등의 효용이 있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