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을 위한 정보

유황

송파나루 2010. 8. 7. 15:51


1, 유황이란 어떤 물질인가?


유황은 생물체의 근원 물질

우리는 유황이란 물질에 대해서 너무나 생소할 것이다

유황은 미생물, 식물, 고등 생물 생체 내에 존재하여 생명 활동에 관여 한다

지금까지 우리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황은 물과 같이 생명을 구성하는 근본물질 중의 하나이다.

사실상 유황은 칼슘, 인, 칼륨 다음으로 인체에 4 번째로 많은 미네랄이다.


체내의 모든 세포에서 발견되며 중요한 아미노산인 시스틴, 시스테인, 메치오닌의구성성분으로서 세포 자신의 생명을 위해 필수적이다.


또한 비타민인 티아민과 비오틴의 구성성분이며, 타액과 담즙 그리고 호르몬인 인슐린 속에서도 존재한다.

체중의 0.15%를 차지하며, 체내의 광물질 함량의 10%를 황이 차지한다.


유황은 질병치유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광물질 유황의근원이 되는 물질이다


광물질 유황은 만병을 물리친다는 천하의 명약으로 알려진 금단의 주원료로 쓰여왔을 정도로 강한 약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광물질 유황은 열독성이 강해 법제 과정이 선행되지 않고서는 내복 할수 없었다


최근 유황의 법제 과정을 획기적으로 극복한 “유황오리” 로부터 무독의 광물질 유황을 얻기도 한다


그렇지만 이제 천연 식이 유황을 통하여 독성의 유황성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MSM이란 이처럼 미생물, 식물, 고등동물 생체 내에 존재하여 생명활동에 관여하는 천연유기유황의 공급원인


메칠설포닐메탄(Methyl-Sulfonyl-Methane)의 약자이며, 소나무로부터 추출한 자연물질로 34%가 유황으로 이루어져 있다,


21세기는 유황의 시대


20세기가 영양소의 황제인 비타민 시대 였다면 21세기는 유황의 시대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유황 성분이 다른 어떤 원소보다 현대인의  건강 노선에 있어서최대의 적이 되는 중금속, 유해물질, 화공독을 해독하는 신비한해독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에게는 그만큼 유황 성분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따라서 법제된 유황은 사람을 살려내는 21세기형 금단이 아닐 수 없다


MSM은 무독의 유황 성분을 간편하게 먹고 피부에 바를 수 있는 유황 영양소 공급원 이다


현재 미국 대체 의학 병원에서는 유황 켑슐이 항암제, 해독제, 근육통 치료제,통증 완화제, 항우울제, 염증 치료제, 피부외용제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황을 주성분으로 하여 개발한 “콜라젠”, 영양크림, 크린저, 스킨, 바디로숀,샴푸등 유황 화장품이 선풍적인 인기를 모으고 있다


참고적으로 MSM은 한 개의 유황 원소와 두 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된 큰 줄기에탄화수소라는 두 개의 가지가 부착된 합성물로써 유황의 무개는 1/3이나차지하고 있는 유황 덩어리이다


2, 천연유황 합성물인 유황은 신종 영양소


인체 내 에서 MSM의 생리적 작용


MSM은 유황이 주성분으로 해양, 대기, 식물 조직, 인체 내 어디에나 존재하는 흔한 화합물 이다


성인의 혈장에는 약4mg의 유황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유황 아미노산인 메티오닌(methionine)과 시스테인(cysteine)내에도 소량의 유황이 들어 있다.


유황이 인체 내에서 어떠한 작용을 하는가 그 효능이 구체적으로 입증되기시작한 것은 1986년 시애틀 태평양 북서 연구재단의 버지니아 리치몬드가 수행한 동물 연구 내용이 life scrence지에 발표된 뒤부터이다.


나아가 유황은 20세기 후반부터 나오기 시작한 신종 영양소이다

그럼 유황이 인체 내에서 하는 생리적 작용 몇 가지를 요약해 보자


첫째, 유황은 통증 완화 작용이 강하다.


둘째, 유황은 염증을 식히는 작용이 강하다.


셋째, 유황은 물질을 운반하는 성질이 강해피부를 포함,  인체의 세포막을 투과한다. 이는 영양분의 신속한 공급과 독소의  용이한 배출을 가능케 한다는 의미이다.


넷째, 유황은 혈관을 팽창시키고, 피의 흐름을 증강시키는 작용이 강하다


다섯째, 유황은 노화 방지 및 장의 연동 작용을 회복시켜 변비를  신속하게 회복 시킨다


여섯째, 유황은 결제 조직을 이루는 성분인 콜라젠(collagen)의 교차 결합  과정을 변화시켜 빠르게 흉터 조직을 감소 시킨다


일곱째, 근육경련을 감소시킨다.


여덟째, 설사를 일으키는 기생원생동물인 GIARDIA에 특히 효과가 있는 항 기생균 성질이 있다.


아홉째, 류마티즘성 관절염, 낭창(LUPUS) 피부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 등에서 관찰되는 것처럼 면역정상화 효과를 갖는다.




MSM의 탄생


유황이 나오기 이전에 DMSO(디메틸 설폭사이드)라는 유황 합성물이 있었다


유황은 DMSO로부터 출발된 것이다 MSM을 이해하려면 먼저 DMSO를 이해해야한다.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이 DMSO란 유황화합물은 1950년대 말 워싱턴주 인근의 큰 제지관련회사인 Crown-Zellerach사에서 생산되었으며, 이 회사는 나무섬유를 서로 결속시키는 물질인 유기 시멘트와 같은 리그닌에서 DMSO를 생산하였다.


처리과정의 첫 단계는 리그닌에서 디메칠설파이드(DMS)를 추출하여 산화시켜서 DMSO로 만드는 것이다.


이 회사는 DMSO의 용제 가능성을 산업용으로 개발하고 있었다.


제이콥박사(MSM 발견자)는 이 회사에서 DMSO 연구를 책임지고 있는 화학자 로버트 허슐러를 만나 연구활동을 같이 시작하면서 다음과 같은 DMSO의 특성을 밝혀 내게 된다.


1.식물과 나무에서 조직사이를 이동하는 성향이 있다.


2.조직사이를 이동할 때 다른 물질도 함께 운반한다.


3.동물실험에서도 이것은 의약을 피부를 통해 신체 속으로 운반할 수 있다.


4.사람에 대해 강력한 통증감소의 성질을 갖는다.


5.염증대항의 성질을 갖는다.


6.의약적 성질로 이뇨제 역할을 하며,


7.향박테리아 효과가 있으며,


8.인체기관의 이식과 관련, 항냉동제 즉 이식용 냉동골수, 혈소판 엠브리오,  난자, 정자 세포의 보존에도 유용하다.


이러한 유용한 특성으로 DMSO는 중증이며 미해결인 관절염, 활액낭염, 건염 등의 치료에 기여하기 시작했다.


1963년 처음으로 미국외과의사대학의 회의에서 발표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1978년 미 식품의약국은 간질성 방관염에 대한 처방적 치료에 DMSO의 사용을 승인함.


1973년 구 소련에서 DMSO가 시효를 갖게됨.

여기서는 낭창 피부경화증, 관절염, 당뇨, 궤양과 같은 수 많은 통증에 대해 지금까지 계속 매년 3천만명의 환자들이 처방을 받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캐나다, 영국, 독일, 스위스 등 약 125개국에서 DMSO가 이용되고 있다.


대략적으로 현제까지 세께적으로 5억 이상의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며, 전세계적으로 55,000건 이상의 연구주제가 발표되었다.


DMSO는 안전하고 특별히 낮은 독성을 가진 물질이며 단 한 건도 이와 관련하여 사망이 기록된 바가 없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 물질의 특유한 악취로 인하여 사용을 중단하였다.


그러다가 1970년대 말 허슐러 박사와 제이콥 박사는 오레곤 건강과학대학의 다른 학부들과 더불어 DMSO의 주요 대사산물인 디메틸설폰(DMSO2)-MSM의 다른 학명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였다.


그래서 DMSO가 인체에 들어가면 약 15%가 그것이 분해될 때의 주요 요소인 MSM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것은 인체가 산소원자을 DMSO분자에 부착시켜서 DMSO2 또는 MSM으로 만든다는 뜻이다.


DMSO중 이보다 적은 량은 디메틸설파이드(DMS)로 전환된다는 것을 밝히므로 눈과 같이 하얗고 냄새가 전혀 없는

“천연 식이 유황” 인 MSM이 세상에 태어나게 된 것이다


3,영양학자들도 무관심해 왔던 유황


잊혀진 생체필수 원소인 유황


지금까지 우리는 유황에 대해 무관심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영양학자인 고 칼 파이퍼 박사가 남긴 "유황은 잊혀진필수영양소이다"라는 말은 이를 잘 대변해 주고 있다.


이제 우리는 천연유기 유황이 인체 내에서 얼마나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다시한번 인식해 볼 필요가 있다.


의학제품의 1/4이 유황성분을 포함한다.


의학박사 C.미첼은 "유황화합물의 생물학적 작용" 이라는 책자에서 "유황의 정화, 해독작용이 수천 년간


알려져 왔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의약 제품의 1/4이 유황을 포함하고 있다."라고역설했다.


항생제로 유명한 페네실린, 세팔로스포린, 당뇨병 치료제인 톨부아미드 5,피부병 치료제인 설파민 1, 항정신병 치료제인 페노티아진 6 등은유황성분이 상당히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들이다.


그 외 감미료, 조미료, 염료, 비료 등에도 유황이 이용 되고 있다.


이렇게 우리 생활에 깊이 관계돼 있는 다른 성분에 비해 영양소 테두리 안에서 밀려나 있었던 것이다.


그러다 미국의 제이콥과 로렌스 박사가 공동으로 집필한 "THE MIRACLE OF MSM"이란 책을 통해 유황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했다.



4, 인체 내의 8번째 생체 필수 원소인 유황


인간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다량의 생체원소에는 수소(H), 산소(O), 질소(N), 유황(S), 나트륨(Na) 등을 포함한 14 종류가 있다.


이들 원소들은 인체을 구성하는 총 원소 중 99.95%를 차지하고 있는 주체적인 원소들이다.


그 중 유황은 우리 몸 속에서 8번째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인체의 피부, 뼈, 머리카락에 다량 존재하는 유황


인체조직에서유황성분은 뼈, 피부, 머리카락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머리카락이 윤기가 없고, 피부가 주름이 지고, 손툽과 발톱이 딱딱하게 각질화되는 이러한 현상들은 모두 유황 성분이 현격하게 결핍되어 가기 때문이다.


그만큼 유황성분이 머리카락, 뼈, 피부조직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는 증거이


대표적인 유황 아미노산인 메치오닌, 시스테인 대표적인 유황 아미노산으로 시스틴(Cystine), 시스테인(Cysteine), 메치오닌(Methionine)이 있다.


그 외 티아민(Thiamine), 비오틴(Biotin), 리포산과 같은 비타민이 일부 유황 화합물에 속한다.


이 중 메치오닌은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식품으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에 속한다.


그래서 우리는 유황성분이 있는 채소나 기타 식물을 통해서만이 유황 아미노산인 메치오닌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유황은 부족 되기 쉬운 필수 아미노산인 메치오닌의 공급원이기도 하다.


5, 먹 거리에서 취할 수 있는 유황



 강한 향기, 냄새, 최루성 성질은 유황성분 때문

 유황은 우리 식탁의 먹거리에서도 섭취할 수 있다.


 우리가 달래를 먹거나 양파의 껍질을 벗기게 되면 강한 맛을  느끼게 되고 눈물이 쏟아진다.


 이와 같이 최루성이 강하고, 강한 냄새를 풍기는 것은 달래와  양파 속에 유황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유황 채소 군


배추, 무, 양파, 파, 부추, 갓, 마늘, 파 등은 대표적인 유황 채소 군이다.


그 외 홍당무, 양배추, 겨자, 양고추, 냉이, 콩, 완두, 해바라기씨 등의 단백질 내에도 유황성분이 내포되어 있다.


배추에는 메칠시스테인설포사이드가 들어 있고, 양파에는 알리실설파이드(allysulfide)라는 유황 아미노산이 들어있다.


특히 마늘에는 알리신(C6H10O2S)이라는 유황 아미노산이 다량 들어있어 유황 채소 군의 왕이라 부를 정도이다.


마늘에 상처를 내면 특유한 냄새가 난다.  알리신(Allicin) 때문이다.


 알리신은 열에 잘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마늘은 생으로 갈아 다른 음식물과 함께 숙성시켜  먹어야 유황성분을 제대로 섭취할 수 있다.


 마늘을 주 양념으로 넣은 김치는 유황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6, 유황이 중금속에 미치는 영향


연탄까스(화공독) 중독 시 동치미 국물을 마셨던 까닭


유황의 가장 특출한 생화학적인 작용은 해독작용이다.


현대인들이 건강하게 살아가려면 가장 시급하게 풀어가야 할 숙제가 공해독으로부터의 해방이다.



공해독은 암과 각종 난치병을 유발시키는 제일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공해독을 해독시키는 신비한 작용을 가진 물질이 다름 아닌 유황이다.


21세기는 유황의 시대라고 전제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 이다.


1978년도 어느 대학 교수가 "동치미 국물을 마시면연탄가스 중독 증상이 회복된다"라고 흥미 있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다.


실제로 연탄가스에 중독이 됐을 때 동치미 국물을 마시게 되면 신비하게도경미한 두통, 어지러움 증상이 사라진다.


그것은 무김치, 동치미 국물 속에 유황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 데 그 까닭이 있다.


이처럼 유황은 공해독을 해독시키는 신비한 작용을 한다.


중금속과 결합하는 성질이 강한 메틸로티오네인


우리 몸 안에는 해독력이 강한 거대한 유황 아미노산인 메틸로티오네인이 존재하고 있다.


메틸로티오네인은 포유동물의 경우 61개 또는 62개의 많은 아미노산으로 엮어져 있는데, 군데군데 시스테인 유황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이 시스테인을 이루고 있는 일부 원소인 "-SH"가 여러 중금속과 이온결합하는특성을 가지고 있다.


결국 메틸로테오네인 단백질은 중금속과 잘 결합하여 몸 안의 중금속의 독성을 중화시키는 한편, 독성이 혈액이나 뼈에 침투되지 않도록 재빨리 오줌으로 배설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슈퍼아미노산 단백질 덩어리 글루타티온의 해독작용


또한 우리 몸속 에 독이 있는 물질이 들어오게 되면 해롭지 않는 물질로 중화, 해독시키는 유황 아미노산이 있다.


그것이 글루타티온 유황 아미노산이다.


글루타티온(Glutathioe, C10H17N3O6S)은 글루타민산과 시스테인, 글리신이 결합된 수퍼 아미노산 단백질 덩어리이다.


여기서 시스테인의 화학구조를 이루고 있는 일부 원소인 '-SH'가 'SeH'로 치환 되면서 여러 가지 유독한 물질을 중화시킨다.


특히 해독 기관인 간에서는 소화와 해독작용을 하는 글루타티온이 다량 분비된다.


시중에 시판되는 글루타티온 간장약도 여기에서 따온 말이다.


그 외 간장은 다른 여러가지 담즘을 분비하여 쓸개즙에 저장한다.


그 쓸개즙 중에는 해독작용을 돕는 타우린(NH2CH2CH2SO3H)이라는 유황 아미노산이 있다.



7,유황의 항암 작용


손상된 세포를 수리하는 '세포치료사' 글루타티온


글루타티온은 세포와 세포막 계통을 손상시켜 각종 암을 발생시키는 유해 물질인 활성산소를 제거한다.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유황 아미노산으로는 환원형 글루타티온, 글루타티온페록시다제, 시스테인 등이 있다.


특히 글루타티온은 노화와 암을 유발시키는 활성산소 중에서도 가장 독성이 강한 히드록시 라디칼의 공격을 받아 손상된 DNA를 복귀시켜주는 세포치료사이다.



면역세포 TNF(종양괴사인자)를 증강시키는 유황


암을 죽이는 면역세포에는 NK세포, 대식세포가 있다.


그 외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LAK세포, 종양을 죽이는 TNF세포가 있다.


유황 아미노산이 많이 들어 있는 양배추, 생강, 무, 부추 등은 종양괴사 인자인 TNF세포 생산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미국 오레곤 보건과학대학과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유황 채소군을 쥐에게 주입시킨 후에 암의 징후가 상당히 지연되었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유황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이 분해된 발효식품들의 항암작용


유황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은 빛이나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되면 강한 향기를 낸다.


대표적으로 김치, 된장, 간장, 치즈 등은 메티오닌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것들이고, 우유, 요구르트, 맥주 등은 메티오닌이 빛에 의해 분해된 것들이다.


유황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이 분해된 발효식품 중 된장은 강력한 항암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된장에는 다름 아닌 메티오닌이 분해된 에틸베타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CH3SCH2COOC2H5)의 성분이 들어 있다.


나아가 무색, 무취의 MSM유황은 중금속, 유해물질, 각종 공해독의 해독제로써 암을 다스리거나 예방하는 차원에서 장기 복용하면 큰 효과가 있다.


8,유황의 정자 활력 작용


환경호르몬이 정자를 죽 인다


미국의 테오콜본, 다이앤 듀마노스키 등은 도둑맞은 미래'라는 저서를 통하여 환경호르몬이 체내에서 여성 호르몬처럼 작용하여 수컷을 점차 암컷화함으로써 종의 소멸까지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그러나 더욱 심각한 것은 공해독인 환경호르몬이 남성의 정자 활동력을 떨어뜨리고, 정자의 수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환경호르몬으로 인하여 남성은 죽어가고 있다.


죽어가는 정자를 살리는 유황


예로부터 광물질 유황은 양기를 회복시켜 주는 '회춘의 묘약' '정력의 대왕'이라고 전해 내려온 물질이다.


유황은 인체의 '생명의 칩'이라 할 수 있는 세포 속의 발전소 격인 미토콘도리아에 불을 지펴주는 에너지 원이다.


정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정자의 중간 부분의 섬유초에는 전기코일을 감아 놓은 듯한 미토콘도리아 나선이 친밀하게 감겨져 있다.


이 섬유초 속의 미토콘도리아 나선에 불을 지펴 주는 원소가 유황이다.


만약 정자 섬유초의 미토콘도리아가 공해독으로 인하여 상처를 입게되면 정자는 기형화되고,정자의 활동은 떨어지게 된다.


물론 정자의 수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공해독을 제독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MSM유황은 공해독으로 인하여 손상된 정자의 세포를 치료해  죽어가는 정자를 살리게 된다.


나아가 유황은 정자의 활동력을 증강시켜 정력을 증강시키며,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정자를 보호한다.




9, 피부 조직에 대한 유황의 작용


1. 피부의 정의


피부는 신체를 둘러싸고 있는 하나의 막이다.

이것은 우리의 생명 보존에 절대 불가결한 것이며 그 사람이 살아온 과정과 연륜을 말해주는 나무의 나이테와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피부의 총 면적은 개인에 따라 약간씩 차이는 있지만 평균 1.5 ~ 2.0㎡ 정도이고 성인 남자는 약 1.6㎡,

성인 여자는 약 1.4㎡로 이것은 유아의 약 7배 정도가 되고 피부의 두께는 평균 2mm (1.3 ~ 3.0mm 라는 설도 있다)이며 피하조직을 제외한 두께는 약 1.4mm정도인데 신체 부위 중 가장 얇은 곳은 눈꺼풀이며 가장 두터운 곳은 손, 발바닥이다.


2. 피부의 구조


①표피


- 피부의 제일 바깥 층이다.


- 외기로부터 모든 자극이나 상해에 대해서 내부를 보호한다.


- 겉면으로부터 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 신진대사 작용이 이루어진다.


 ■ 각질 층 - 무색, 무핵의 평평한 회백색 조직의 모임이다.

 - 외기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 비듬, 때가 되어 밖으로 떨어져 나간다.


 ■ 투명 층 - 각질화 되기 전의 세포들이 서로 밀착하여 투명한  층을 이루고 있다.

 - 주로 손과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다.


 ■ 과립 층 - 방추형(역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 각화효소가 함유되어 각화가 시작된다.

 - 수분 저지막이 이루어져 있다.


 ■ 유극 층 -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세포에 가시가 돋친 모양을 하고 있다.

 - 진피의 림프액이 흘러 표피의 영양을 담당한다.

 - 표피세포의 탄력을 관장한다.


 ■ 기저 층 - 표피의 최 하부에 위치한다.

 - 표피 발생의 근원지이다.

 - 멜라닌 색소를 형성한다.

 - 세포 분열이 이루어진다.



※ 각화현상


표피 세포는 기저 층에서 생성되어 분열에 의해 위쪽으로 상승함에 따라 각질화 된다.

각질층에 이르는 세포는 자연적으로 때, 비듬으로 떨어져 나가게 되는 데 이런 현상을 각화현상이라고 한다.


※ 피부생리


 기저 층에서 각질세포까지 올라가는 기간이 약 14일 정도,  각질층에서 머무는 기간이약 14일정도로

 사람에 따라 28±3 주기 정도가 된다.


 -어린이는 5~6일이 걸리고 노인들은 50 ~ 60일까지도 걸린다.



②진피


- 표피 밑에 있는 두꺼운 층으로 피부의 강도와 경도를 좌우한다.

- 유두 층과 망사 층 그리고 유두하층으로 되어 있는데  여러 가지 섬유가 교차되어 있으므로 그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그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콜라겐(90%)이라는 단백질에서  만들어진 교원섬유(아교질 성분)이고 그 사이에 엘라스틴(10%)에서  만들어진 탄성 섬유(탄력섬유)가 그물 모양으로 짜여 있다.


- 교원섬유는 기계적 외력이나 화학적 자극에 강한 저항력을 갖고 있으므로 각질층과 함께 외기의 영향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 탄성섬유는 피부의 탄력을 주는 섬유로 노년기에 감소한다.

- 콜라겐이 느슨해지며 잔주름이 생기고 파괴되면 깊은 골 주름이 생긴다.

- 모세혈관이 있기 때문에 피부의 혈색을 표현한다.


 ■ 유두 층 - 표피의 영양분과 체온조절 작용을 한다.

 - 눈 부분의 혈액량을 조절한다.

 - 모세혈관과 임파선이 있어 표피와 진피를 보호한다.


 ■ 망사 층 - 섬유성 단백질이 존재한다.

 - 교원섬유와 탄력섬유로 되어 있으며 피부의  강도를 갖게 해준다.

 - 피지선, 한선, 동맥, 정맥이 있다.

 - 탄력과 팽창이 큰 층으로 임산부와 비만인 사람이  피부가 늘어나도 지탱할 수 있게 해준다.


③ 피하조직


- 진피와 골격 사이에 있는 부분으로 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지방조직 이라고 한다.


- 피하조직의 두께는 부위에 따라 다르며 성별, 연령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


- 피하조직은 호르몬과 관계가 깊어 여성의 신체선 에 부드러움을 준다.


- 진피와 뚜렷한 경계가 없다


 

콜라겐 의 분포


피부조직(콜라겐)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는 MSM


젊음의 징표는피부의 탄력성이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는 탄력을 잃고 쭈글쭈글해져 간다.


피부가 탄력성이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는 진피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콜라겐(Collagen)의 기능성에 있다. 그래서 화장품 중에서도 가장 비싼 화장품 중의 하나가 콜라겐 기능성 화장품인 것이다.



콜라겐과 MSM의 관계



진피는 주로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로 구성되고여기에 문제가 발생하면 수분 손실 및피부 노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콜라겐은 피부재생에 있어 피부함수율, 피부주름, 상처치유, 피부재생들의 역할을 수행 한다.

콜라겐이 하는 대표적인 역할은 진피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콜라겐 섬유는 많은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피부의 저수지' 라는 말을 하기도 한다.


콜라겐 분자는 사람의 몸 속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단백질로써 3중 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어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 콜라겐 분자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콜라게나아제라는 효소가 있다.

이 콜라게나아제를 구성하는 여러 아미노산 사슬을 마치 풀처럼 끈끈하게 엮어주는 것이 MSM 유황이다.


다시 말하면 유황은 피부의 조직과 조직을 결집(-S-S-)시키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그래서 콜라겐의 기능적 사용에 의하여 피부가 탄력성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MSM은 조직과 조직을 서로 결합시켜 피부에 탁월한 탄력성을 유지시켜 준다.


따라서 유황아미노산이 없이는 정상적인 콜라겐을 생성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황의 공급원으로 MSM은 피부미용과 피부재생을


통한 피부에 활력을 공급하는 필수 영양소라 할 수 있다.



* MSM의 피부 해독작용


예로부터 광불질 유황은 피부병 치료제로 자주 사용되어 왔다.

또한 피부병에 걸리면 비방의 하나로 유황 온천을 찾았다.

이처럼 유황은 피부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피부는 인체의 외부와 내부조직을 연결하는 통로로써 자연 환경 조건에 따라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따라서 날로 심화되어 가는 환경오염 속에서 피부조직에 누적되어 가는 공해독, 유해물질을 해독시키는 것이 피부건강의 선행 조건이다.


이 해독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캐라틴 단백질 구조의 주 성분인 유황 아미노산 시스테인(Cystine)이 맡고 있다.


시스테인은 실제로 모든 생명체에서 발견되는 분자 수퍼맨인 글루타티온의 주요요소이다.

인체에서 중요한 노화방지제이며 해독제이다.


다른 어떤 것보다도 인체가 발암불질과 유해화학물들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래서 인체 내의 '해독의 전사'인 유황 성분의 주요 공급원인 MSM은 피부조직의 캐라틴 기능을 더욱 향상 시켜주어 피부에 누적된 유해물질을 신속히 정화, 해독 시켜줌으로서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켜 준다.




유황의 피부재생 작용


유황은 중요한 아미노산들 즉 단백질이라는 인체 건축용 블록 의 주요요소이다.


단백질은 효소, 호르몬, 항체, 그리고 인체에서 계속되는 수많은 생명활동의 기본 요소이다.


또한 근육, 뼈, 머리칼, 이, 혈액, 두뇌, 피부, 기타 인체기관의 구조적 원자재를 제공한다.


아미노산 중에는 유황아미노산 이라는 일군이 있는데 이 화합물들은 유황을 함유함을 의미한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메치오닌과 시스테인이다.


그들의 많은 작용 중에서도 특히 모든 세포의 발전소 격인 미토콘도리아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대사의 주요 작용자로서 참여하고 있다.


즉 단순한 원자재 이상의 생명과정과 세포의 생성과정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피부의 재생작용을 돕는 것은 많은 역할 중의 하나에 불과하다.


10,유황의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및  혈전 분해 작용



혈관벽 찌꺼기를 분해하는 MSM


 유황은 혈관벽을 좁히는 주 요인이 되는콜레스테롤과 과산화 지질을 분해시키는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펜실베니아대 영양학 연구팀은"마늘의 유황성분(알릴설퍼화합물) 의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를 주도한 유얀 예 교수(펜실베니아대 영양학)는  마늘에서 물에 잘 녹는 S-알릴시스테인 유황성분을 추출하여  실험실 쥐의 간세포에 공급한 결과 S-알릴시스테인유황성분을  공급하지 않았을 때보다 무려  콜레스테롤합성량이 40~60%나 줄어들었다고 발표했다.


 이처럼 유황성분은 혈관벽을 좁히는 콜레스테롤, 과산화 지질을 분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혈전(핏덩이)를 녹이는 MSM


 유황은 뇌혈전 등 성인병의 주원인이 되는 핏덩이인  혈전을 녹이는 신비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최근 인제대 식품 과학부 송영선 교수는 "김치가 혈압과 혈전용해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논문에서 김치 속의 마늘성분이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혈전증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고 밝혔다.


 또한 송교수는 6주동안 김치를 섭취한 흰쥐의 혈장에서  혈전용해 능력이 증가한 것을 발견했다.


 송 교수는 김치의 주성분인 마늘과 양파에 혈소판과 세포성분을  둘러싼 피브린 분해를 활발하게 해주는 유황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11,유황의 뼈 강화 작용


뼈를 튼튼하게 만들기 위해 먹었던 유황성분


유황을 장복하면 뼈가 튼튼해지고 골수가 충만하게 된다.


신농본초경에서는 "유황은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고 탈모를 방지한다"라고 쓰여 있다.


우리는 힘이 장사이고 몸이 튼튼한 사람을 가리켜 강골이라 부른다.

나이가 들면 뼛골이 시리다, 뼈에 바람이 든다고 한다.


뼈가 튼튼하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건강의 척도를 쟀던 것이다.


일부 차력술을 연마하는 사람이나 축지법을 수련하는 수행자들은 수행에 도움이 된다하여 그 비방으로 쇠를 갈아 법제해 먹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자연동 산골이다.


자연동 산골은 황동석(CuFeS2)으로 구리(Cu(와 유황(S)이 80% 를 차지한다.



신정을 충만케 하는 유황


유황과 뼈의 관계를 한의학적인 견지에서 살펴보면, 황제내경 소문에서는 "오장이 주관하는 바를 보면 심장은 맥을 주관하고,


간은 근육을 주관하고, 비장은 육을 주관하고, 폐는 피부를 주관하고, 신장은 뼈를 주관한다.


또한 신장은 갈무리하여 간직하는 본으로서 신의 충만함은 뼈에 나타난다."라고 밝히고 있다.


유황이 신에 작용하게 되면 신정이 충만하게 되어 뼈가 튼튼해지고 골수가 충만하게 된다.


실제적으로 오리에게 유황을 6개월 이상 먹이면 유황오리의 뼈는 유황을 먹이지 않은 일반오리의 뼈보다 훨씬 단단하여 좀처럼 깨지지 않는다.



12, 유황의 염증 제거와 살균 작용


생선회에 겨자, 설렁탕에 파 마늘 다대기 를 곁들여 먹는 까닭


우리는 생선회를 먹을 때 생마늘과 겨자를 곁들여 먹는다. 곰탕이나 설렁탕 을 먹을 때도 잘게 썰 은 파를 넣어 먹는다.

그 까닭은 생선회에 있는 균을 살균하고. 설렁탕 고기 속에 있는 독을 살균, 해독시키기 위한 지혜이다.


파에는 디알릴설파이드(DALIIYLSULFIDE)라는 유황성분이 들어 있어 살균, 살충을 돕는다.

 

 

피부 외용제로 사용된 유황


우리나라 에서는 주로 유황은 피부염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중국 고의서 에서는 유황과 명반, 마늘, 노감석, 산화아연, 식초 등을 적당한 배율로 섞어 환부에 바르면 버짐이 낫는다는 처방이 기록되어 있다.


유황의 살균작용을 생화학적 으로 살펴보면,


유황을 피부에 바르면 유기물과 작용하여 펜타티온산(HO-SO2-S3-SO2-OH)이 형성된다.


이 물질이 피부 각질을 용해시켜 살충, 살균 작용을 한다. 따라서 MSM 유황은 무독, 무취의 유황 원소의 공급제로서 염증을 삭히고, 살균력이 강해 수술환자가 복용하게 되면 통증이 완화될 뿐만 아니라 수술 자국이 덧나지 않고 속히 새살이 돋게 된다.



13, 유황의 이뇨 및 변비 억제 작용


한의학에서 수(水, 陰)을 주관하는 것이 신(腎)이다.

신음(腎 陰)은 배설기관에서 이음(二陰)으로 통한다.


한쪽은 전음으로 소변과 생식기관에 작용을 한다.

또한 다른 한쪽은 후음으로 대변기관에 작용를 하여 몸 안의 배설기관의 작용을 돕는다.


그런데 여기서 신음의 배설기능과 생식기능을 원활하게 유황은 신에서 신양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유황성분은 배설기관인 신음의 기운에 신양의 기운을 도와 배설을 촉진시킨다.



이뇨제로 쓰이는 유황성분


실제로 유황은 대장경을 자극하여 체내의 유독가스와 숙변을 빼고, 온 몸의 노폐물을 배출하여 몸 안을 깨끗이 청소한다.


현재 대표적인 이뇨제로 유황 아미노산인 하아드로크로로티아지드(Hydrochlorothiazide) 4가 쓰이고 있는 것도 그런 까닭이다.


따라서 황은 변비, 숙변을 제거해 주는 이뇨작용이 뛰어나다



14, 인슐린과 호르몬과 유황


인슐린 호르몬의 끈(S-S)을 이어주는 유황


유황이 당뇨병과 어떤 상관 관계가 있는지 보면, 인간 인슐린의 구조는 1960년도 생거(Sanger)에 의해서 확정되었다.


인간 인슐린 분자는 51개의 아미노산으로 엮어져 있다.


그 아미노산들은 A, B 두 가닥의 사슬로 구성되어 있다.


A 사슬은 21개의 아미노산, B 사슬을 30개의 아미노산으로 엮어져 있다.


그런데 이 두 가닥의 사슬은 유황원소(-S-S-:디설파이드기)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슐린 호르몬은 유황성분 없이 합성될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유황원소는 마치 두 장의 종이를 붙일 때 본드와 같은 접착제 역할을 한다.



당뇨병 치료제 주성분으로 들어가는 유황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IDDM)과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NIDDM)으로 구분된다.


현재 당뇨병 치료제로 톨부타미드(Tolbutamide) 5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다름 아닌 유황화합물이다.


따라서 유황은 몸 속 의 인슐린 호르몬 작용에 있어서 기능의 활성화를 가져와 당뇨병을 다스리는 데 긴요하다고 할 수 있다.



15, 유황에 대하여


화학적 성분


MSM이란 Methyl-sufonyl-methane(메칠설포닐메탄)의 약자로 우리 몸속에 발견되는 유황화합물이며, 미생물, 식물, 고등동물 생체 내에 존재하며생명 활동에 관여하는 “천연 식이유황” 이다



생물학적 측면


인체의 필수 구성 요소

황은 인체를 구성하는 요소중에 8번째를 차지하고 있으며, 머리카락, 뼈, 피부조직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영양학적 측면


정상적인 음식요소

유황은 영양가가 높고 가능한 필수 인자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는 정상적인 음식 요소로서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 즉, 생존과정을 보호하고 유지시키는 많은 효소의 활성화에 필수적이다



법학(특허)적 측면


미국 내에서는 의약품으로

유황은 메틸설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음식 조성 및 그 이용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미국 특허가 나와 있으며, 수많은 실험과 증명 단계를 거쳐 미국 내에서는 화장품, 건강식품,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16, 만약 인체가 충분한 유황을 갖고 있지  않으면 어떤 일이 생기는가?


유황은 인체 내에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물질이다.

유황은 모든 체세포 속에 저장된다.


MSM은 천연유기 유황 화합물이며, 자연상태의 음식물에서 발견되며 가공하거나 가열할 경우 손실되어 버린다



만약 인간의 몸이 손상된 조직을 충분히 빨리 치료하거나 대체하지 못한다고 가정하자.


만약 이런일이 일어난다면, 인체는 질병을 야기시키는 비정상적인 세포를 생산함으로서 이를 대체한다. 따라서 통증에 민감하게 될 것이다.


유황의 부족은 소화계 질환, 면역시스템의 저하, 관절염, 류마티즘, 기억상실과 여드럼 등에도 관련이 있다.


또 손.발톱이 잘 깨어지거나 머리카락이 푸석해지거고 피부건조와 피부병을 야기 시킨다.


MSM은 자연발생 함유황 유기화합물로 주로 신선한 과일이나 야채 그리고 인체의 세포 존재한다.



MSM은 브로클리, 고추, 양파, 아스파라거스, 양배추, 콩 등의 가공되기 전의 야체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포유동물의 우유에서 고농도의 MSM이 발견된다.

MSM은 유기 화합물이며 상품으로서의 MSM 또한 순수한 단일 분자이며, 자연에서 얻어지는 MSM 분자와 동일하다.


MSM은 DMSO로부어 얻어진다. MSM은 DMSO가 산소와 결합된 것이다.

MSM은 주로 신경세포조직, 피부, 머리카락, 관절, 손.발톱 등에서 많은 양이 발견된다.



MSM이 인체에 무엇이 유익한가?


MSM은 인체를 해독하며 혈액의 흐름을 증가 시킨다.

MSM은 다양한 역할을 하며 특히 사람의 몸에 근본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MSM은 건강한 머리카락, 피부, 손.발톱 등에 필수 구조 미내랄(REQUIRED STRUCTURAL MINERAL)이다.


또한 인체의 모든 체세포조직의 탄력과 유연성을 유지시키는데 세포조직의 투과성을 유지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적절한 투과성은 세포가 영양분을 흡수하고 노폐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



MSM은 특히 피부나 혈관, 기관(ORGANS) 그리고 관절등의 대부분의 체세포 조직의 복구와 치료에 필수요소인 메치오닌과 시스테인과 같은 함 유황 아미노산의 근본 구성 물질이다.


뼈에는 신경이 많지 않기 때문에 우리가 느끼는 통증은 부드러운 조직에 기인한다.



아스피린은 신경을 차단한다.

그러나 근육의 손상은 그대로 지속된다.


MSM은 그러나 염증을 제거하기 때문에 근육이 치료되며 쓰리고 아픈 통증이 없어진다.


MSM은 또한 유리기(FREE RADICAL) 청소부이며, 그래서 꽃가루와 음식물 알러지를 없애준다.


그리고 기타의 의약품에 대한 과민반응을 없애준다.



17, 유황 요구량


인간 - 하루에 체중 1kg당 0.5~1mg


낡은 세포가 죽고 새로운 세포가 형성시 신체 내에 MSM이 충분치 않으면 새로운 세포는 경직 되어서 가죽과 같이 된다.


적당한 세포 조직기관과 머리카락, 피부, 손발톱을 위해서 필요하고 건강하고 유연한 삼투성이 있는 세포를 만들기 위해선 MSM의 지속적인 공급이 필요하다.


평균적으로 인간의 몸에는 몸무게의 0.1%를 차지하는 만큼의 유황이 존재하고 있으며, 항상 이를 유지 시켜야 한다


따라서 좋은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루에 체중 1kg당 0.5~1mg의 메틸 설포닐 메탄 (MSM)을섭취하는 것이 바람 직 하다,



가축(짐승) - 하루에 체중 1kg당 1mg~1.5mg


대부분의 사료는 사람들이 가공 처리하기 때문에 다른 어떤 동물보다 메틸 설포닐 메탄 (MSM)의 결핍이 크다


식물세포에도 황은 있지만 그 양이 풍부하지 않고 가공처리 되지 않은 식품 안에 존재하는 많은 MSM은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그것을 씻거나 요리하거나 끊이는 과정에서 손실되고 만다.


이런 현상은 동물먹이, 예를 들어 콩과 사료인 알팔파(alfalfa)에서 확인할 수 있다.


MSM은 알팔파에는 측정 가능한 양 만큼 함유되어 있지만 마른 건초 상태에서는 검출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결핍현상은 사람들이 먹는 거의 모든 가공식품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사람 및 저급 동물은 식품 처리 과정에서 손실되고 있는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메틸설포닐메탄을 대체하기 위하여 하루에 체중 1kg당1mg~1.5mg의 메틸설포닐메탄을 필요로 한다,


식물 


동물뿐만 아니라 식물의 생물학적 정상 상태를 위해 필요한 영양소이다,


분광 광도 측정기술 및 방사선 추적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한 바에 의하면 식물 뿌리는 놀라울 정도의 높은 수준으로 축적 한다


18,인삼, 산삼, MSM의 유황아미노산

 (S- β -S) 단위 함유량



얼마 전 서울대학교 약리학 연구실에서 선삼(仙蔘)이라는 것을 개발하여 세계를 놀라게 하였는데 그 내용인즉 홍삼을 특수 가공하여 사포닌-Β-설포네이트(Ginsenoside) 함량이 기존 자연산 산삼의 10배에 가까운 효능이 있다고 발표하였는데 이 Ginsenoside 가 바로 유황 아미노산이라는 사실이다.


인삼, 홍삼, 산삼, 선삼에는 베타 β 황(saponine -β - sulponate)이란 유황아미노산 성분만이 포함되어 있으나,


MSM에는 알파α, 베타 β, 감마 г, 델타δ, 람다λ, 뮤ω의 6가지 유황아미노산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인삼의 품질과 효능은 바로 이 베타 황의 함유량으로 평가된다.


 유황아미노산(S- β –S)의 단위 함유량

인 삼

백 삼

홍 삼

산 삼

선 삼

MSM

1mg

10mg

30~60mg

300~600mg

산삼의

10배

산삼의

60배


(대학 실험결과)


MSM에 함유된 유황아미노산의 역할


 1) 알파α, 감마 г : 정신신경계에 작용 – 향 정신성질환인 치매,  정신박약, 우울증 등에 효과


 2) 베타 β : 고질적 질환인 암, 당뇨, 고혈압, 저혈압 등에 효과


 3) 델타δ : 피부질환에 효과 – 고엽제, 건선피부, 아토피, 알러지  등등


 4) 람다λ, 뮤ω : 모든 질환에 적용되며, 특히 면역체계를 강화하는 작용



19, 유황의 특성



유황의 특성은 미국에 출원된 그리고 출원중인 특허에 잘 나타나 있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로 알아본 특성


발명의 명칭 : 메틸설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음식 조성 및 그 이용방법


미국특허4296130


1,인체조직의 유연성을 유지한다


2,유연하고 부드럽게 한다,


3,매끄럽게 하는 동시에 손톱 및 발톱이 갈라지는 것을 줄인다,


4,본질적으로 인체 화학에 불활성이다,


5,생존 과정에서 일어나는 몇몇 화학반응에 불활성이다


6,독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혈액에 대한 희석제로 사용 가능하다


7,유연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경구 복용이 개시 되어있다



미국특허4477469


메틸설포닐메탄 및 카바이드 조성에 관한것



미국특허4514421


알레르기 스트레스 징후를 개선하는 방법


체액에서 절대적이고, 또한 비독성이어서 혈액화학을 해치지 않고 혈액에 대한 희석 액 으로서 사용 될수 있다는 사실에 불구하고,


위장장해,점막염증 및 알레르기 반응과 같이 스트레스에 의한 생리학적 반응의징후를 보이는 사람에게 병리학적 조건에 대한 회복 제 이다,


미국특허4514421


메틸설포닐메탄과 같은 단백질 조절 제 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는 DOSO조성을 밝히고 있다


미국특허4112946


삼투요인

물에서 사는 동물에게 건강 촉진제를 투여하는 과정에 있어서 메틸설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수용성 용매시스템을 밝히고 있다


미국특허4772624


약학적으로 불안정한 활성제를 보존하기위한 희석제나 케리어 로써 메틸설포닐메탄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4326122


위장장해를 촉진하는 약제 및 이를 개선시키는 양의 메틸설포닐메탄을 포함하는 경구 약제 조성에 관한 것이다,


특허의 목적


1,메틸설포닐메탄을 사용하여 신진대사가 가능한 황 부족 음식물을  고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2,사람 및 기타 동물에 있어서 생리학적 조건이 맟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3,참기 어려운 통증을 경감 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시험관 내에서 메틸설포닐메탄이 독성을 나타내는 기생충에  감염된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5,야간 및 운동에 의해 생기는 근육경련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것이다


6,불리한 생리학적 조건을 처치하는데 관한 것이다,


문헌으로 알아본 특성 및 효능



Metcalf. l. l Equine Vet, :13(5) : 148-174에 의하면 동물의 음식물에 메틸설포닐메탄을 첨가하면 이익이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


말에 있어서 칼슘/인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하나의 질병인 에피피시티스는 메틸설포닐메탄을 구강 복용 시킴으로써 급속히 고쳐졌다,


생존과정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화학작용에 불활성이고, 독성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메틸설포닐메탄은 그 음식물 내에 흡수 가능한황이 결핍된 인간 및 기타 척추 동물에 요구되는 영양이 되는 황을 공급하는데 충분할 정도로 신진대사가 잘 된다는 것이 발견 되었다


시겔은 암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 형태로 발생 소질을 가진 생쥐에 대하여메틸설포닐메탄을 평가 하였다,


표준 동물과 비교했을때 종양 발생이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임파종의 전이에 있어서 현저한 지연을 가져왔다,


이것은 관절병 발원의 괄목할 만한 감소를 보였다

식수 내에 있는 메틸설포닐메탄을 섭취할 때 DMBA를 복용한 임생쥐는 종양의 발육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반면, 유방종양이 표준 동물 에서는 나타났다



약리학적인 용도


1,흡입 알레르기에 대한 좋지 않은 반응을 감소 시킨다


2,위산 과다와 관련된 문제를 조절한다


3,만성 변비를 면하게 한다


4,구강 투약에 관련된 과민증의 감소 및 제거


5,허파 기능 장애 증상으로부터 면하게 한다


6,장이나 뇨성기로에 관련된 기생충 감염을 조절한다


7,말기 병 등에 대한 기분을 상승 시킨다


8,관절병 환자의 화학 프로필을 개선 시킨다


9,노인성 환자, 다리/허리 경련, 근육경직 및 통증이완


10,고혈압을 낯춘다


11,희귀한 유전의 자가 면역 기능 부조의 차도를 촉진 한다,


12,가축이나 방목 동물의 전체 건강을 개선 시킨다


13,동물에 있어서 스트레스 죽음의 우려를 감소 시킨다,



기능적 특성


동물의 질병에 대한 저항력 및 전체 건강상태를 개선하는 방법과 동물에 있어서 관절염에 관련한 통증 및 불편함을 감소 시킨다,


체내에서의 기능


정상적인 음식요소를 기능을 하며, 약제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황 화물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같지 않은 생체분자의 윤곽을 결정하는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생존 과정을 보호/유지 시키는 많은 효소의 활성에 필수적이다


식품 첨가제로서의 기능


수많은 실험으로 음식, 음료수, 양념 및 껌, 방향제, 정제나 이와 유사한 조성물을 포함한 많은 섭취물의 맛을 증강 시키고 풍미를 증강 시키는 것으로 발견 되었다


담배에 첨가하면 그 풍미가 한층 증가 된다



유황의 특성



메틸설포닐메탄은 화학 및 빛에 안정되어 있으며 독성이 극히 낮으며, 용해력이 좋으며, 물에 잘 녹고 분산력 이 좋다,



20, 가축영양에서의 유황


일반적으로 동물 체내에서 요구되는 유황은 전량 함유 황 아미노산으로부터 공급 될 수 있다고 믿어지지만 동물은 어느 정도의 무기 태 sulphate를 이용할 수 있으며,


무기 태 sulphate는 함유 황 아미노산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음이 연구결과 점차 인정되어지고 있다.


사료를 통해 급여한 무기 태 sulphate는 체내 여러 조직에 결합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 중에는 chondroitin sulphate, heparin, 계란, 깃털, 근위의 내벽, 간 근육, taurine, 담즙 등이 있다.


Sulphate 형대로 급여한 유황이 tauine과 아마도 taurocholic acid의 합성에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받아 들여 지는데 taurocholic acid는 담즙 산의 주요 구성 성분의 하나이다.


병아리와 어린 칠면조의 사료에 무기 태 sulphate를 첨가할 때 성장과 사료효율이 개선된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유황의 대사는 질소 대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Sulphate의 첨가 효과는 사료에 적정 수준의 methionine을 함유하고 cystine이 제한 아미노산일 때 가장 높다.


무기 태 sulphate는 사료의 methionine 요구량을 대치할 수는 없으나 조직 내에서 함유 황 아미노산을 절약함으로써 단백질 합성 효율을 개선하는 것 같다.


Cystine은 methionine분해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methionine을 절약한다.



만일 sulphate도 비슷한 기작으로 cystine의 분해를 억제하여 cystine을 절약한다면 보다 많은 함유 황 아미노산이 단백질 합성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반추동물에서 유황의 결핍은 사료 섭취량을 감소시키고, cellulose 소화율을 감소시키며, 비단백태 질소 화합물의 이용효율을 떨어뜨린다.



반추 가축에서 유황은 단백질 및 질소 이용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 사료 배합 비를 작성할 때 질소와 유황의 비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 가장 효율적인 N:S 비율은 약 10:1 정도라고 한다.

유황은 체내에서 해독작용에도 관여하며 체내 대사과정에서 많은 다른 영양소와 상호관계를 가진다.


유황은 세계적으로 점차 중요한 식물양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유황이 부족한 나라는 15년전 34개국에서 현재 72국가로 증가되었다.

유황은 NPK 다음으로 중요한 제4식물영양소로 평가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세계적인 유황결핍지역과 그 원인 지역적인 수요량 및 유황에 대한 연구 소비촉진 계획 등이 정부, 국제기관 및 산업계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음을 다루었다.



이와 같이 유황은 모든 질병으로부터 면역기능이 강화되고 어떠한 약물(각종 항생제나 성장 촉진 호르몬제등)도 배재 한 채 순수한 무공해 환경을 조성함으로서 현재의 각종 오염에서 벗어나 양질의 식품을 얻을 수 있다는 희망에 부푼 기대감의 차원을 넘어서 모든 가축류, 가금류, 어패류 등 의 사육자들로 하여금 소득증대에 놀랄만한 결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과 동시에 국가에 기여함은 물론 전세계의 인류 건강증진에도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유황은 모든 동식물에 유효하다는 것은 이미 전술한 바 있거니와 산란닭에 사료와 함께 먹이면 소위 유황난이 탄생되는데 이에 달걀의 난황에 들어있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격감시킨다든가, 또는 키토산의 작용을 극적으로 향상시키는 동시에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 지금까지 특수하게 만들어 졌다는 인삼난이나 키토산란등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우수하다 할 수 있으며


생신력이 강화되어 활동이 민첩해 지고 활력이 넘침을 육안으로도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나타났으며 성장과정도 정상이었다.



무엇보다도 유황성분은 닭에게 치명적인 뉴 켓슬병 같은 경우에도 폐사율이 거의 0으로 떨어지는 놀라운 물질이라는 것이 증명되어 미국 등지에서는 가축에 유황투여 단계를 넘어서 의무적으로 모든 가축에 사용하도록 적극 권장하고 있는 정도라는 것을 Midas Group 사보 창간호에서 발표하기도 했다.


특히 닭의 경우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항생제나 성장촉진 호르몬제에 일체 의존함이 없이 그야말로 무공해 닭으로 사육하는데 어떠한 질병의


감염도 찾아 볼 수 없었으며 사육한 육계나 산란닭 에서 생산되는 달걀의 맛도 그렇지 않은 닭이나 달걀보다 닭 특유의 냄새나 비린내 등의 역겨움이 없으며 매우 단백하고 개운하였다,


광물성 유황에는 화산이나 지진 또는 유황온천 등의 지하에서 나오는 토유황과 같이 황토라고 하는

담황색이나 담홍색의 흙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동물성유황은 웅담이라고 하는 곰의 쓸개, 돼지 쓸개, 우황청심원의 주성분인 소의 담즙과 사향노루의 사향등에 존재하는 것을 말하며,


식이성유황은 많은 종류가 있는데 일상 우리가 접하는 유황채소군 즉 마늘, 양파, 쑥, 파 등과 더불어 상황, 케일, 아가리쿠스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대나무 속살등도 유황 아미노산 물질로 죽염 제조에 쓰일 만큼 여러곳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을 뿐 아니라,

그 효능도 우수하여 마치 공기나 물이 없으면 잠시도 생명을 유지할 수 없듯이 매우 광범위 하면서도 소중한 물질로서 각종 질병은 물론, 현대병을 유발하는 다이옥신 같은 오염물질을 해독하는데 탁월한 물질로서 입증되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미루어 볼 때 21세기야 말로 유황의 새대라 아니할 수 없다.



21,신의선물 유황


메틸설포닐메탄은 지구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모든 동식물의 생존에 의해 이용가능하고 동화된 주요 영양분으로 건강식품에 필수적이며,


동물의 생존에 관련된 거의 모든 신선한 자연식품에서 발견되는 영양 필수 요소이다


필요한 다량영양소인 황은 성숙한 동물 내에서 계속적으로 치환되어야 한다,


동물에 있어서 메틸설포닐메탄은 축척 황으로서 체내에 저장되어 생체분자를 포함하는 필요황의 다량합성을 최적화 시키는데 충분한 농도를 제공하거나, 피부 또는 요도를 통하여 배설된다,


손상을 받지 않은 분자는 피부의 유연성 및 부드러움을 개선하는 등 조직에 좋은 효과를 가져 온다,


인간의 대부분의 식품 및 보다 저급동물의 음식물에서는 결정적으로 중요한영양분인 메틸설포닐메탄이 결핍되어 있다,


지금까지 사람 및 동물은 최적 건강상태를 막는 인식되지 않은 음식물 결핍으로 고통을 받은 것으로 믿어진다,


노인을 포함하여 어린이와 어른 모두가 메틸설포닐메탄수준이 자연적이고 가공되지 않은 식품과 일치될때, 보다 이의적인 균형 잡힌 음식을 취할 수 있다


예전에는 균형 잡힌 영양의 필요성을 위하여 섭취된 단백질이 충분한 대사 황을 공급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는 옳지 않으며 체내에 영양적으로 적당수준의 동화 가능한 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메틸설포닐메탄의 섭취가 필요하다고 현재는 알려져 있다



'건강한 삶을 위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유황 MSM  (0) 2010.08.18
유황온천  (0) 2010.08.10
목초액  (0) 2010.08.01
단식(斷食)으로 왜 병(病)이 치료되는가?   (0) 2010.06.29
좋은 물의 조건  (0) 2010.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