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지구엽초(음양곽:淫羊藿) ]
옛날 중국의 사천 지방에 한 목동이 있었다.어느 날 양떼를 몰고 산으로올라갔다가 숫양이 암양과 교미하는 것을 보았는데 무려 백번을 하고도 지치지 않는 듯 하였다. 목동이 이상히 여겨 그 숫양의 행동을 유심히 살펴 보았더니 어떤 풀을 열심히 뜯어먹는 것이었다. 목동이 그 양이 먹던 풀을 뜯어 먹었더니 허기도 들지 않고 정욕이 왕성해졌다. 그리하여 뒷날 음탕한 양이 먹는 풀이라 해서 그 풀을 음양곽이라 부르게 됐다.
옛날 어느 마을에 칠순이 가까운 노인이 있었는데 어느 날 산에 나무를 하러 갔다가 처음 보는 풀을 발견하여 뜯어먹었더니 갑자기 성욕이 일어나서 주체할 수 없었다. 지팡이를 내던지고 부랴부랴 집으로 돌아와 아내를 껴안았다. 뒷날 이 풀을 지팡이를 내던지게 한 풀이라 하여 방장초라고 불렀다.
삼지구엽초는 키가 30~40센티미터쯤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한줄기에서 가지가 세 갈래로 뻗고 거기에 잎이 세 장씩 돋아 잎이 모두 아홉 장이 된다 하여 삼지구엽초라 한다. 이 이름 말고 음양곽, 방장초, 선령비, 천량금, 강전, 팔파리, 기장초 등 여러 이름이 있다. 5월에 노란 색 꽃이 피고 여름철에 잎이 무성하게 자란다. 우리나라의 강원도 경기도, 그리고 북한지방의 깊은 산 소 나무 그늘 밑에서 자란다.
불임증과 신경쇠약에도 잘 듣는다.
삼지구엽초는 옛날부터 정력을 세게 하며 음위를 치료하고 불임증을 고치며 치매를 예방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특히 삼지구엽초로 담근 술은 선령비주라 하여 으뜸가는 강정약술로 꼽힌다. 삼지구엽초는 성기능을 높이고 뼈와 근육, 힘줄을 튼튼하게 한다. 음위증, 조루, 불임증, 냉병 건망증, 마비증, 허약체질 등에 두루 쓴다.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혈압을 낮추며 저혈압, 당뇨병,심근경색, 신경쇠약 등에도 효험이 있다. 삼지구엽초를 동물에게 먹이면 성욕이 왕성해지고 삼지구엽초에 들어있는 성분인 에피메딘을 개에게 주사하면 정액이 훨씬 많이 분비되고 교미시간도 늘어난다. 삼지구엽초는 성신경을 자극하여 정액을 많이 나오게 하고 성욕을 왕성하게 한다. 성행위를 지나치게 하여 허리가 아프고 쉽게 피로해지며 아침에 일어나기 어렵고 머리카락이 빠지고 다리에 힘이 없으며 꿈이 많을 때 삼지구엽초를 먹으면 효험이 크다. 삼지구엽초는 술에 담가서 먹는 것이 가장 효험이 좋다. 삼지구엽초 500그램을 술 3리터에 담가서 보름쯤 어둡고 서늘한 곳에 두었다가 날마나 조금씩 마신다. 또는 삼지구엽초 120그램, 복령 60그램, 꿀200그램, 대추 60그램을 소주 2리터에 넣고 한 달쯤 어둡고 서늘한 곳에 두어 숙성시켰다가 날마다 잠자기 전에 소주잔으로 한두 잔씩 마신다. 삼지구엽초는 마늘, 복령, 숙지황, 육종용 등과 함께 쓰면 효력이 커진다. 다른 방법으로는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을 잘 게 썰어서 차로 끓여 마시거나 오래 달여 조청처럼 만들어 조금씩 먹는다. 하루 10~12그램을 쓴다.
여성과 남성의 불임증에는 삼지구엽초 15그램, 인산 3그램을 물로 달여서 아침 저녁으로 마신다. 여성은 이와 함께 쑥이나 석창포 달인 물로 목용을 하면 더욱 좋다. 몸이 차가워서 생긴 불임증과 성기 발육 부전으로 인한 불임증에 효과가 있다. 6개월 이상 꾸준히 복용하면 뜻 밖에 좋은 결과를 볼 수도 있다. 큰 병을 앓고 나서 몸이 몹시 쇠약해졌거나 본래 체질이 허약한 사람은 삼지구엽초고를 만들어 먹으면 좋다. 삼지구엽초와 선모를 각각 10~20그램씩 차로 끓여 마시면 효험이 이싿. 이밖에 중풍으로 인한 마비, 손발처림, 생리불순, 이병, 현기증, 기침, 소아마비 등에도 삼지구엽초를 쓴다.
삼지구엽초의 약효와 질병치료법
삼지구엽초는 성질이 더우므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나 소양체질인 사람이 너무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 소양체질의 사람이 삼지구엽초를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어지럼증, 구토, 갈증이 생기고 코피가 나는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또 한꺼번에 많은 양을 먹으면 소변이 잘 안 나올 수도 있으므로 부종 환자는 적은 양을 자주 복용하는 것이 좋다. 삼지구엽초는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사포닌이 주성분이다. 줄기와 잎에 플라보놀 배당체인 이카리인, 세릴알콜,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인산, 비타민E가 들어있고 뿌리에는 데스메틸이카리인, 마그노플로린 등이 들어 있는데 삼지구엽초의 강장, 강정작용을 이카리인인 것으로 추측된다. 삼지구엽초에서 추출한 성분은 남성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이 있어서 거세한 동물의 정낭을 크게 하는 작용이 있다. 거세한 닭의 볏을 자라게 하고 거세한 흰쥐의 정낭이 위축되는 것을 막아주는 작용이 실험에서 밝혀졌다.
삼지구엽초는 온갖 균을 죽이는 작용도 있다. 기침을 멋게 하고 가래를 삭이며 장운동을 억제하는 작용도 있다. 삼지구엽초의 약성에 대해 북한의 <동의학사전>은 이렇게 요약했다."신양을 보하고 정기를 도우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풍습을 없앤다. 강정작용, 이뇨작용, 혈압을 낮추는 작용 등이 실험으로 밝혀졌다. 음위증, 성신경쇠약증, 성호르몬 장애등에 쓰며 소변불통, 귀울음, 건망증, 마비, 생리불순 등에 쓴다. 허약한 사람의 보약으로도 쓴다. 하루 6~10그램을 달임약으로 먹는다. "
삼지구엽초는 여름철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쓴다. 높은 산 바위틈에 자라는 것이 효과가 더욱 놓으며 중국산보다는 우리나라에서 자란 것이 훨씬 효력이 세다. 뿌리가 굻고 튼튼한 것일수록 품질이 좋다.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고 잔뿌리가 많이 달린다.
줄기는 뭉쳐나고 높이가 30cm이며 가늘고 털이 없으며 밑 부분은 비늘 모양의 잎으로 둘러싸인다.
줄기 윗부분은 3개의 가지가 갈라지고 가지 끝마다 3개의 잎이 달리므로 삼지구엽초라고 한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에 달린 잎은 길이 5∼13.5cm의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은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털 같은 잔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밑을 향해 달린다.
꽃은 지름이 10∼12mm이고 노란 색을 띤 흰색이다.
꽃받침조각은 8개인데, 안쪽의 4개는 크고 서로 같은 크기이며, 바깥쪽의 4개는 작고 서로 크기가 다르다.
꽃잎은 4개이고 긴 꿀주머니가 있다.
수술은 4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골돌이고 길이 10∼13mm의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음양곽(陰羊藿)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최음·강장·강정·거풍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음위(陰謄)·신경쇠약·건망증·히스테리·발기력 부족 등에 사용한다.
또한 술을 담가서 마셔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국·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이용방안>
▶식용법으로 봄에 어린 잎과 꽃잎을 따다가 나물로 해먹는데 어릴 때는 쓴맛이 별로 없으므로 가볍게 데쳐서 찬물에 헹구기만 하면 된다.
▶莖(경) 및 葉(엽)은▶잎이 3개씩 2회 갈라지므로 삼지구엽초 라고 한다.
▶약용으로 중요한 식물로 재배작물로 개발 가능성이 높다.
▶식물을 경제작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 다양한 상품화 및 개발 가능성이 있는 식물이다. 이 식물은 물에 넣어 끓이면 잎과 줄기가 빳빳해지는 특성이 있다.
▶환경부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66) (음양곽),
根莖(근경)은 淫羊藿根(음양곽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淫羊藿(음양곽)
①여름-가을에 채취하여 햇볕 또는 그늘에서 말린다.
②성분 : 莖(경)과 葉(엽)에는 icariin을 함유하고 잎에는 더욱 精油(정유), ceryl alcohol, hentriacontane, phytosterol, tannin, 油脂(유지)가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유 중의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이다.
③약효 : 補腎(보신), 强陽(강양), 祛風(거풍), 除濕(제습)의 효능이 있다. 불임, 음위, 발기불능,
倦怠無力(권태무력), 小便淋瀝(소변임력), 筋骨攣急(근골련급), 반신불수, 腰膝無力(요슬무력), 류머티즘에 의한 마비와 통증, 四肢不仁(사지불인)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15g을 달여 복용한다. 술에 담그거나 膏劑(고제), 丸劑(환제), 散劑(산제) 등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⑵淫羊藿根(음양곽근)
①성분 : 음양곽의 근경에는 des-o-methylicariin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虛淋(허림), 白濁(백탁), 白帶(백대), 월경불순, 소아야맹증, 膿(농)이 안터진 癰疽(옹저), 천식발작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하거나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신경쇠약
삼지구엽초와 숙지황을 각각 10~15그램씩 달여서 하루 한 번 잠자기 전에 마신다.
음위, 양기부족
삼지구엽초 300그램, 생강 70그램, 감초 40그램을 소주 4리터에 4~5일쯤 담가 뒀다가 그 술을 잠자기 전에 소주잔으로 한두 잔씩 마신다.
성기능을 높이고 몸을 튼튼하게 하는 데 매우 효험이 크다.
기관지염
삼지구엽초의 잎과 줄기와 뿌리를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낸 것 3~5그램을 하루 세 번 밥 먹고 나서 먹는다.
방사선 치료 후유증
삼지구엽초와 조뱅이 각 10~15그램을 한데 넣고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밥 먹고 나서 마신다. 삼지구엽초는 방사선을 쪼였을때 나타나는 혈소판 감소를 줄이고 회복을 빠르게 한다.
당뇨병 특효약
염소에게 삼지구엽초를 먹여서 키워 약으로 쓰면 당뇨병을 치료하는 데 특효가 있다. 3~4개월 된 염소를 삼지구엽초, 옻나무 순, 인삼 가루 등을 먹여서 1년쯤 키운 뒤에 잡아서 약으로 쓴다. 먼저 간과 내장을 쪄서 말려 먹고, 다음에 고기와 뼈를 끓이거나 가루 내어 모두 먹는다. 웬만한 당뇨병은 이 염소 한 마리로 완치가 가능하다.
삼지구엽초 한눈에 보기
과 명: 매자나무과
생약명: 음약곽(淫羊藿), 선령비(仙靈脾)
속 명: 삼지구엽초, 방장초
분포지: 우리나라 경기도 이북의 나무가 듬성듬성 있는 숲속, 석회암 지대
개화기: 5월
꽃 색: 황록색
결실기: 6~7월
열 매: 지름 5~6밀리미터, 길이 10~13밀리미터의 끝이 뾰족한 유선형 열매
높 이: 30센티미터 가량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채취시기: 5~6월에 전초를 채취한다.
가공법: 그늘에서 말린다.
약 효: 고혈압, 음위, 양기부족, 불임증, 냉증, 이명증, 건망증, 마비, 생리불순, 허약체질 개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