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 약재 산나물

전복

송파나루 2008. 12. 14. 18:27

 

 평간, 해열, 시력증진, 두통, 현기증, 경련, 청맹, 외상출혈, 야맹증, 백내장, 피로회복에 효험

전복은 연체동물 복족강(Gastropoda) 원시복족목(Archaeogastropoda) 전복과(Haliotidae)에 딸린 대형 권퍠(券貝)류이다.  크기는 10cm 이상이며 표면에는 일렬로 수공이라고 하는 구멍이 4~5개 있다.  수심 20미터의 암초에 붙어 있고 식용을 하려면 4~5년 걸린다.  산란기는 11월경이므로 8~10월에 가장 맛있고 겨울에는 살이 말라서 맛이 없다.

우리나라에는 5종이 알려져 있으며 체층이 거의 전부를 차지하고, 몇 개의 구멍을 갖고 있으며, 매우 납작하고 껍질의 안쪽은 진주빛을 낸다.  구멍을 호흡공이라고도 부른다.  전복을 영어로는 ear shell 또는 abalone shell이라고 하는데 그 형태가 당나귀의 귀(ass ear, donkey ear)를 닮았다는 뜻이다.  속명의 'Haliotis'는 '바다의 귀'라는 뜻이 들어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 바닷속에 살고 있는 전복의 종류를 열거하면 아래와 같다.

1, 전복(Haliotis 'Nordotis' discus discus Reeve)
2, 말전복(Haliotis 'Nordotis' gigantea Gmelin)
3, 시볼토전복(Haliotis 'Nordotis' sieboldii Reeve)
4, 오분자기(Haliotis 'Sulculus' diversicolor aquatills Reeve)
5, 마대오분자기(Haliotis 'Sulculus' diversicolor diversicolor Reeve)

전복의 맛은 달고 짜며 성질이 평하다.  맛을 내는 성분은 숙식산, 류신, 아르기닌, 글루타민산 등이다.  참전복 100g당 에너지 91칼로리, 수분은 77.2퍼센트이고, 단백질은 15그램, 지질 0.7그램, 칼슘 49밀리그램, 인 141밀리그램, 비타민 B1 0.26밀리그램, 비타민 B2 0.25밀리그램, 니이아신 3.5밀리그램 등이 함유되어 있다.

전복껍데기의 성분은 탄산칼슘 90퍼센트 이상, 유기질 약 3.67퍼센트, 또한 소량의 마그네슘, 철, 규산염, 유산염, 인산염, 염화물과 아주 미량의 요오드를 함유한다.  센불로 태우면 탄산염이 분해되어 산화 칼슘이 생성되고 유기질은 파괴된다.

중국의 <신농본초경소>에서는 "석결명은 족궐음경의 약이다.  족궐음은 눈과 연결되며 눈은 혈을 얻으면 밝아진다.  혈허로 열이 있으면 청맹이 되거나 벌겋고 아프며 장예(障翳)가 생긴다.  맛이 짜고 찬 성질은 혈에 들어가 열을 제거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북한에서 펴낸 <동물성동약>에서는 전복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전복조가비(석결명, 생복조가비)

[분포] 우리 나라 동서남해에 분포되어 있다.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 연해, 태평양 아열대~열대바다에 분포되어 있다.

[동물형태]
큰전복: 조가비 길이 16~20센티미터, 너비 13~14센티미터, 높이 7.8센티미터 정도이다.  조가비는 귀모양이고 두터우며 든든하다.  조가비의 나선탑은 2층이며 매우 작다.  체중부는 매우 크며 조가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숨구멍은 20개 정도이고 한줄로 나란히 나있으며 마지막의 4~5개만 뚫어져 있다.  조가비 겉면은 울퉁불퉁하고 푸른회밤색바탕에 어두운 붉은 밤색무늬가 있다.  나선상살은 약 30줄이고 가늘고 치밀한 생장선과 교차되어 있다.  어린 개체일수록 나선상살이 자라면서 세로간 주름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조가비의 안쪽면은 진주빛이 난다.  체중부안에 대가리, 발, 외투막이 있으며 나선부안에 내장낭이 있다.  대가리의 가운데 부분에 입이 있다.  윗부분에 1쌍의 촉각과 눈이 있다.  외투막안에 1쌍의 아가미가 있다.  발은 특별히 크며 넓은 발바닥으로 바위에 들어 붙거나 천천히 이동한다.  발의 모서리에 판상돌기로 된 외족이 있는데 수많은 촉수가 나 있으며 운동할 때에는 촉수를 조가비밖으로 내보낸다.  

전복: 조가비 길이 30센티미터이며 매우 두텁고 든든하다.  조가비 겉면은 매우 울퉁불퉁하고 숨구명은 더욱 높이 도드라져 나왔고 구멍직경이 큰 것이 큰 전복과 다르다.  

[사육] 전복을 양식하기 위한 적당한 수역은 미역, 듬북, 다시마 등의 갈조류가 무성한 바위풀수역으로써 비중은 1.025정도, 바닷가로부터 50미터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전복은 자라면서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조가비 길이는 1년에 4센티미터, 2년에 6센티미터, 3년에 9센티미터 정도로 자란다.  전복을 증식하기 위하여 대체로 9센티미터 아래의 것을 잡지 못하게 해야 한다.  보통 종자로서 9센티미터 정도의 것을 쓰는데 이것이 12~15센티미터 정도로 자란 다음 잡는다.  해마다 순서대로 매수역에 새끼조개를 놓아 길러 자란 다음 순서대로 잡는 것이다.  다른 나라에서는 새끼 전복에게 갈조류 대신에 규조류를 먹이로 양식한 결과 자라는 속도가 빨라졌다고 한다.

[채취 및 가공] 5~9월 사이에 물속에 들어가 갈구리, 삽 등으로 바위에 붙어 있는 전복을 떼낸다.  잠수복을 입고 채취하기도 한다.  얕은 바다에서는 창경을 쓰고 물속을 들여다 보면서 <전복찌르개>나 <전복걸개>를 이용하여 떼낸다.  주낙광주리를 이용하여 잡기도 한다.  

가공: 조가비 겉면에 붙어 있는 바다풀, 석회벌레류, 기타 잡질을 깨끗이 없애고 물로 씻은 다음 햇볕에 말린다.
법제: ① 깨끗이 씻어 잡질을 없앤 다음 그대로 가루 내거나 섭씨 600도 아래의 온도에서 구워 가루낸다.  법제품은 흰회색이여야 하며 흰색이 되어서는 안된다.  ② 깨끗이 씻어 말린 전복 조가비를 약간 붉은색을 띨 때까지 가열한 다음 전복조가비 1킬로그램에 소금물 28그램, 적당량의 뜨거운 물을 넣고 돌망에서 갈고 가루낸다.  ③ 깨끗이 씻은 전복 조가비를 짓찧어 가루내어 쓴다.

[약형태] 종류에 따라 크기는 여러 가지이지만 보통 길이 7~16센티미터, 너비 5~13센티미터이다.  겉면은 회색이 도는 밤색, 회색이 도는 누른색을 띤 것이 많다.  물결 모양의 무늬가 몇 개씩 나 있다.  한쪽 모서리에 20개 정도의 원형 숨구멍이 줄지어 나있는데 4개는 크며 구멍이 뚫어져 있다.  안쪽면은 진주빛, 부른진주빛, 무지개빛, 검은진주빛 등을 띤다.  질은 굳고 깨뜨리기 어렵다.  냄새는 없고 맛은 약간 짜다.  

구조: 전복조가비는 3층으로 되어 있다.  겉층은 매우 얇은 각질층으로 되어 있는데 콘키올린으로 이루어져있고 가운데층은 능주층(석회질층)이고 인산 칼슘으로 되어 있으며 속층은 진주층으로 되어 있다.  각질층은 비교적 얇고 검은밤색이며 거칠다.  톱으로 썰거나 가는 과정에 쉽게 떨어진다.  능주층은 두텁고 흰색을 띤다.  세로간 긴줄은 각질층과 진주층 사이에 비교적 수직으로 놓여 있다.

진주층은 비교적 두텁고 은빛, 보라색, 분홍색, 풀색 등이 섞인 무지개 빛을 띤다.  진주층 가루는 연한 분홍색, 붉은 보라색, 흰색이 섞인 미세한 알갱이 등이 섞여 있다.

[성분] 아홉구멍전복조가비에는 탄산칼슘 90퍼센트 이상, 유기질 약 3.67퍼센트, 적은량의 마그네슘, 철, 인산염, 규산염, 유산염, 염화물 등의 이온들과 요드가 들어 있다.  

[분석] 껍질이 크고 두터우며 겉면은 깨끗하고 안쪽면이 진주빛이 뚜렷하게 나는 것이 좋다.

확인:  ① 약가루 약 0.5그램에 희류산 또는 희염산 5밀리리터를 넣으면 거품이 나면서 풀리고 흰색의 막질조각이 남는다.  ②  약가루 약 0.1그램에 물 2밀리리터, 닌히드린시액 1~2방울을 넣고 5분동안 끓이면 용액은 푸른보라색으로 된다.

[약리작용] 진정작용과 혈압낮춤작용, 콜린에스테라제억제작용을 나타낸다.  

[응용] 보통 진정약으로 하루 3~6그램을 쓴다.  또한 눈약, 진정약으로 시력장애, 녹내장, 고혈압병 때에는 하루 6~16그램을 쓴다.  이밖에 폐결핵의 만성소모열, 구토, 코피, 임질 등에도 쓴다.  또한 이뇨약, 제산약으로도 쓴다.

전복 조가비는 또한 단추를 비롯한 여러 가지 공예품을 만드는데 쓴다.

[처방] 석결명산: 전복 조가비가루, 결명자 각각 37.5그램, 강활, 치자나무 열매, 속새, 들맨드라미씨, 메함박꽃뿌리 각각 18.8그램, 대황, 형개꽃이삭 각각 9.4그램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고루 섞는다.  열내림약, 눈병약으로 쓴다.  맥문동 달인물과 함께 하루에 2~3번, 한번에 5~8그램씩 먹는다.

석결명탕: 전복조가비 24그램, 단국화꽃, 생지황, 조구등, 백작약, 구기자, 더덕, 구기자나무뿌리껍질 각각 12그래에 물을 넣고 달인다.  고혈압에 하루에 2번 먹는다."

전복은 간의 열을 식혀주며 황달을 치료하고 눈이 침침하고 자주 충혈이 되며 아픈 경우에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눈의 피로가 없어진다.  신장의 기능을 강화하는 작용도 있어 정액의 양을 늘린다.  소화능력을 향상시키고 영양상태를 좋게 한다.

전복은 약간 서늘하기 때문에 몸에 열이 많아 자주 달아오르고, 입과 목이 자주 마르는 사람, 자주 어지럽고 뒷목이 당기는 사람, 사소한 일에도 짜증을 잘 내는 사람이 먹으면 좋다.  폐결핵으로 뼈 속이 후끈거리는 경우와 여성의 대하와 자궁출혈에 효과가 있다.  이뇨작용이 있어서 소변이상을 발생하는 여러 질병을 치료한다.

주의사항으로 전복은 옛날부터 쪄서 응달에 말려 저장했는데, 이것은 3~4년 동안 저장해도 모양과 색깔에 변함이 없다.  생식하는 것이 좋지만 4~5월에는 전복 내장에 독성이 있으므로 내장을 날 것으로 먹으면 안 된다.  특히 몸이 냉하고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은 조심한다.  중국의 의학서인 <신농본초경소>에서는 "선복화(旋覆花)와는 상극이다."라고 기록하며, <본초구원>에서는 "운모(雲母)와 상반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날 것은 꼬들꼬들하여 회로 먹을 때 씹히는 맛이 좋다.  대개 죽이나 찜을 한다.  육질로서 엿을 고아 먹으면 맛이 제일 좋다.

전복의 껍데기를 생약명으로 석결명(石決明: 명의별록)이라고 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진주모(眞珠母: 뇌공포구론), 복어갑(鰒魚甲: 도홍경), 구공라(九孔螺: 일화자제가본초), 천리광(千里光: 본초강목),  포어피(鮑魚皮: 산동중약수책), 금합리피(金蛤蜊皮: 산동중초약), 구공포(九孔鮑: 반대포:盤大鮑: 광저해결:光底海決: 이편각:耳片殼: 해결명:海決明: 해남결:海南決: 중약대사전)등으로 부른다.    

전복껍데기의 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간과 신경에 작용한다.  간의 기운을 평하게 하고 양기를 저장하며 열을 제거하고 시력을 아주 좋게 하는 효능이 있다.  풍기역상, 두통, 현기증, 경련, 골증로열, 청맹내장을 치료한다.

하루 13~38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오래 달여도 좋다.  또 환제,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용시 갈아서 만든 가루를 수비(水飛)하여 점안 한다.

석결명이 간에 작용하는 것은 눈을 밝게 하기 때문이다.  <동의보감>에  청맹(청맹)과 백내장을 치료한다고 적고 있다.  청맹은 눈이 서서히 잘 보이지 않으면서 나중에는 밝고 어두운 것도 분간할 수 없게 되는 병이다.  이러한 증상은 시신경 위축이나 황반부 변성 등에서 볼 수 있다.  오랫동안 눈에 생긴 예막이 없어지지 않는 경우에 사용해 왔다.  조개류는 대개 소변을 이롭게 하는 작용이 있어서 모든 소변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딱딱한 것을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고 치루를 치료하기도 한다.  수험생이나 연구원처럼 눈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은 전복살과 돼지뼈를 3~6시간 정도 중간 불에 끓여 만든 찌개를 먹는다.  그러면 시신경의 피로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석결명의 법제 방법에 대해서 <중약대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석결명(石決明): 씻어서 통풍 건조시켜 분쇄한다.
하석결명(煆石決明): 깨끗하게 씻은 석결명을 연기가 나지 않는 화로위나 도가니에 태우는데 내복하는 것은 회백색이 되게 하고 외용하는 것은 백색이 되도록 만들어 꺼내고 식힌 후 절구에 빻아 가루낸다.  
염석결명(鹽石決明): 석결명을 조금 붉은 색이 나게 태우고 꺼내어 소금물을 끼얹어 절굿공이로 분쇄한다.
석결명 50그램을 빻아 2.5그램의 소금을 물 적당량에 잘 녹여서 사용한다.

1, 뇌공포구론: "석결명을 사용할 때에는 먼저 표면의 거친 껍질을 제거하고 소금과 동쪽으로 흐르는 계곡물이나 냇가의 깨끗한 물을 큰 사기 그릇에 부어 잠시 끓여서 꺼낸 다음 닦아 말려서 찧어 가루낸 후 다시 잘 갈아서 솥에 넣고 오화피(五花皮), 오이풀뿌리, 아교 등 3미(味)를 넣고 사기 그릇 속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물로 3번 헹구고 마르면 또 한 번 갈아서 약에 넣어 사용한다."

2, 해약본초: "석결명을 사용할 때에는 먼저 밀가루로 싸서 구운 다음 외측의 검은 부분과 거친 껍질을 비벼서 제거하고 잘 짓찧어서 고운 체로 친 후 다시 유발(乳鉢)에 곱게 갈아서 약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3, 득배본초: "센불로 태워서 사내아이 소변에 담그었다가 갈아서 수비(水飛)한다."]

황도연이 쓴 <방약합편>에서는 전복살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전복살(석결명육)

石決明肉鹹凉劑 最能明目殼消瞖
석결명육함양제 최능명목각소예

전복살은 맛이 짜고
성질은 서늘한데
눈을 썩 잘 밝게 하고
껍질로는 예막삭히네

○ 전복을 일명 석결명이라고 한다.
○ 전복껍데기는 밀가루 반죽에 싸서 잿불에 묻어구워 익혀서 쓰거나 소금물에 삶아서 보드랍게 가루내어 쓴다. [본초]"

석결명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청맹과 야맹증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운 석결명 37.5그램, 껍질을 제거한 창출 120그램을 가루내어 1회 12그램을 돼지간을 펴서 그 안에 넣고 단단히 묶어 질그릇에 넣어 잘 끓인 후 그 증기에 눈에 쏘이고 식으면 간과 즙을 복용한다. [안과용목론]

2, 외상 출혈
석결명 적당량을 고운 가루가 되게 센불에 태우고 체로 친다.  상처를 깨끗이 씻고 그 위에 약가루를 뿌리고 단단히 고정시킨다. [내몽고, 중초약신의료법자료선편]

3, 목이 부어 호흡과 음식 넘기기가 곤란할 때
석결명을 불에 태우고 식초로 3번 볶아서 갈아서 고운 가루로 만들어 쌀식초에 섞어서 거위깃털에 발라 목 안을 문지른다.  담이 나오면 치료된다. [본초휘언]

4, 현기증
석결명 30그램, 국화 12그램, 구기자 12그램, 뽕잎 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성제총록, 석결명산]

전복은 패류 중에서 수분 함량이 많고 지질 함량이 적다.  지용성 비타민은 거의 없고, 단백질은 두부의 약 2~5배가 많이 들어있으며 비타민 B군과 철, 칼슘을 포함하고 있다.  

전복은 눈의 피로나 온몸의 피로회복에 큰 효과가 있으며 옛부터 <전복죽>을 귀중한 요리로 여겨왔다.  전복살은 식용으로서 생것을 생복, 생전복이라고 하고 찐 것을 숙복, 말린 것을 건복이라고 부른다.  전복의 저장법은 전복을 쪄서 응달에 말려서 저장하는데, 3~4년간 저장하여도 모양, 색깔에 변함이 없이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독성이 있는 계절인 4~5월경이 아니라면 살아있는 것을 생식하는 것이 제일 좋다.

'약초 약재 산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실  (0) 2008.12.14
토마토  (0) 2008.12.14
양파의 한방적 효능  (0) 2008.12.14
결명자  (0) 2008.12.14
고추  (0) 2008.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