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 약재 산나물

어성초

송파나루 2014. 8. 22. 08:52

어성초해부하기어성초/ 바닮이야기

2014/05/03 00:38

복사http://blog.naver.com/badarm/150189854533

전용뷰어 보기

엄지의제왕이라는 프로그램에 어성초의 탈모예방효과가 소개 된 후, 많은 분들이 어성초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관심의 가운데 조명 받고 있는 어성초의 성분은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decanoyl acetaldehyde) 인데요, 데타노일 아세트알데히드라는 오타도 많아 데카노일이 맞음을 먼저 말씀드려야겠네요. ^^

 

지난 번 삼백초의 유효성분중 하나인 탄닌에 대해서 공부해 보았습니다. 어성초는 이 삼백초과의 한 식물로서 삼백초가 아빠뻘 정도 되겠네요. 어떻게 보면 유효성분들이 비슷한 점도 많고 효과도 비슷하지만 다른 점도 엄연히 존재합니다.

 

크게 구분지어 얘기하자면 두 식물 모두에 존재하는 항염 및 항균효과가 어떠한 방식으로 존재 작용하느냐에 대한 차이인 듯 합니다.

 

삼백초의 이러한 효과는 주로 폴리페놀에 의한 항산화 효과에 의한 항염 및 항균효과인걸로 나타나지만, 어성초의 항염 및 항균효과는 전초에 0.0049% 포함되어 있는 휘발 성분 (정유 성분) 중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의 작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성초의 항균작용은 이로 인해 설파민계 항생재의 약 4만배의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 되는데요, 삼백초의 폴리페놀 성분은 그 보다 많이 알려져 있지 않아 어느 정도의 효과를 지니게 되는지 궁금한 대목입니다. 앞으로 더욱 연구가 필요한 부분인 듯합니다.

 

어성초 추출물이 생쥐 및 사람의 면연계에 미치는 영향 (김희정, 2000)에 의하면 어성초의 항균작용의 범위가 대장균, 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적리균, 임균, 포도구군, 사상균, 백선균, 무좀균, 항산성 세균뿐 아니라 비병원성 세균에도 그 효과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어성초가 어떠한 질병에 쓰이는지에 대한 설명 또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 태독, 유행성 감기, 폐렴, 폐농양, 해수, 만성 기관지염, 백일해, 축농증, 학질, 독창, 백선, 여드름, 부스럼, 무좀, 화농성관절염, 자궁경염, 대하, 인질, 매독, 황달성 간염, 신장염, 방광염, 요도염, 수종, 요도결석, 요통, 신경통, 출혈 및 장액분비 억제

 

항암효과와 항비만 효과를 가진 쿠에르치트린 성분을 포함 한다는 것은 어성초가 삼백초의 아들뻘이라는 것을 증명 해 주는 듯 하네요.

 

또 다른 어성초의 유효성분 중 하나는 렉틴입니다.

 

렉틴의 생물학적 기능중 주요한 것은 많은 수의 림프구를 자극 하는 것 입니다 (김희정, 2000). 림프구의 자극이라는 것이 무엇일까요?

 

림프구는 백혈구의 한 종류로, 신체내 면역반응에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2014). 림프구를 자극함으로서 면역활동을 더욱 활성화 시킨다는 것으로 이해 할 수 있겠습니다. 김희정(2000)의 렉틴을 이용한 생쥐실험에서는 어성초군이 비장(신체에서 혈액을 생성하고 조절하는 가장 큰 기관)세포를 높은 정도로 증식시키고 어성초 추출물에서도 이러한 작용을 하는 렉틴이 존재함을 증명하였습니다.

 

얘기를 좀 쉽게 풀어가며 공부를 해볼까 했는데 어땠는지 모르겠네요.

 

이번 공부를 하면서 얘기했던 어성초 -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 삼백초 - 폴리페놀 이 갖는 항균 및 항염효과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면, 어성초는 어떠한 결과 (염증, 세균감염)에 대해 탁월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성분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에 대한 원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지해주는 성분(항산화)효과는 삼백초가 더 많이 포함 하고 있다고 생각 할 수 있겠습니다.

 

예를 들어 여드름이 생긴 건 노화, 세균의 침투, 호르몬의 불균형 등과 같은 원인을 들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원인에 대한 예방처방이라면 삼백초를, 하지만 그러한 결과가 나타났다면 어성초를 사용해 그 결과를 다스려주고 다시 그러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도록 삼백초를 사용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하는 짧은 공부 후 느끼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모두들 해풍어성초, 해풍삼백초 많이 사랑해 주시고 건강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

[출처] 어성초해부하기|작성자 바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