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 약재 산나물

비쑥

송파나루 2013. 5. 14. 18:03

비쑥


▣ 비쑥 ▣




요약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rtemisia scoparia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한국, 일본, 시베리아, 인도 북부, 중국, 유럽
자생지  바닷가 모래땅
크기  높이 60∼90cm


본문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뿌리는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고 뿌리 윗부분은 자줏빛이다. 높이 60∼90cm이다. 밑부분은 다음해 새싹이 자라며 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새 가지 끝에 달린 잎은 로제트형이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바늘 모양이며 길이 3∼5cm 정도로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잎은 1∼2회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실같이 가늘고 길이 2∼6.5cm의 잎자루가 있다. 꽃은 8∼9월에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피고, 피기 전에는 밑으로 처지며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포조각은 3줄로 배열하고 털이 없다.

어린 풀 전체를 나물로 한다. 소변이 잘 안 나오거나 염증·요도염·신경쇠약·두통 등에 약용하고, 특히 여성 질병에 좋다고 하여 민간에서는 산후하혈·자궁출혈 등에도 흔히 쓴다. 사철쑥과 닮았으나 냄새가 다르다. 사철쑥은 줄기가 나무처럼 되어 있어 겨울철에도 죽지 않지만 비쑥은 겨울철에 줄기가 완전히 말라 죽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 일본, 시베리아, 인도 북부, 중국,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비쑥 *


약명 ; 황호

신장과 방광의 결석을 녹이고 황달을 낫게 하며 여성들의 보약으로도 널리 쓰이는 등 그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


약재에 대하여

쑥은 우리나라에 40여 종이 자라고 있는데 거의 모든 종류가 식용, 약용으로 중요하게 쓰인다. 비쑥은 흔히 인진쑥으로 부르는 사철쑥과 구별하기 어려울 만큼 닮았으나 약성은 좀 다르다.
비쑥은 제주도를 비롯한 우리나라 중, 남부 지방의 바닷가 모래밭이나 돌 틈에 많이 자란다. 사철쑥과 닮았으나 냄새가 다르다. 사철쑥은 줄기가 나무처럼 되어 있어 겨울철에도 죽지 않는 것에 견주어 비쑥은 겨울철에 줄기가 완전히 말라 죽는 것이 특징이다.
60~90cm쯤 자라고 뿌리는 굵으며 뿌리 윗부분은 자줏빛이다. 잎은 바늘 모양이며 길이는 3~5cm정도이다.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며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피어 10월에 익는다.

약성 및 활용법

비쑥은 8~9월에 잎과 꽃줄기가 붙은 웃가지를 베어 그늘에 말려 약으로 쓴다. 단오무렵에 베어서 약으로 쓰기도 하는데 황달치료에 쓸 때에는 단오 때 벤 것이 쓴맛이 적어서 더 좋다고 한다.
비쑥은 갖가지 염증과 소변이 잘 안 나오는데, 요도염, 신경쇠약, 두통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특히 신장과 방광의 결석을 용해하는 데 매우 효력이 크다.
이른 봄철에 갓 돋아난 새싹은 여느 쑥처럼 국을 끓여 먹거나 떡을 만들어 먹는다.
특히 여성들의 질병에 좋다고 하여 민간에서는 산후하혈, 자궁출혈 등에도 흔히 쓴다. 안태작용이 있어 임신한 여성의 보약으로도 좋다고 하며, 갖가지 기생충증, 기침, 가래, 두통, 열나는 데, 척수 신경근염, 간질, 신경쇠약, 곽란, 설사 등을 치료하는 데도 쓴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 신장이나 방광의 결석에는 비쑥 말린 것 10~20g을 진하게 달여서 하루 2~3번에 나누어 마신다. 쓴맛이 강하지만 독성은 전혀 없으며, 소변을 잘 보게 할 뿐만 아니라 변비를 치료하는 효과도 있다.

▶ 비쑥 달인 물은 특히 싱아산염이나 인산염으로 인한 결석에 효과가 크다. 대개 20~40일 복용하면 웬만한 신장이나 방광의 결석은 대개 녹아서 없어진다.

▶ 단오무렵에 채취한 어린 줄기와 잎은 생당쑥이나 사철쑥과 마찬가지로 황달 치료에 쓴다. 통증을 멎게 하고 ,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간에 쌓인 독을 풀고, 염증을 제거하며, 쓸개즙이 잘 분비되도록 하는 등의 작용이 있다.
단오무렵에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서 하루 15~20g을 달여서 마시거나 가루 내어 알약을 만들어 복용한다. 오래 고아서 조청을 만들어 먹는 방법도 있다.(자료 : 겨레의 자연건강)














* 참고문헌 : 산야초 동의보감 (장준근), 야후, 네이버 백과사전, 토종약초장수법(최진규), 각종 웹싸이트 등  *

'약초 약재 산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뱅이  (0) 2013.05.14
연삼  (0) 2013.05.14
여로  (0) 2013.05.14
참깨  (0) 2013.04.24
쉽사리(택란)  (0) 2013.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