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을 위한 정보

[스크랩] 자화수란?

송파나루 2010. 6. 22. 20:41
자화수


0 자화수란?

물 자체가 자성을 띄운다는 의미가 아니라 자기장에 의하여 물분자의 배열이 바뀌어져서 특이한 물분자 구조화를 이루는데 이러한 특성이 일정기간 유지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환원되어 집니다.

따라서 자기장에 의하여 물분자를 특이하게 변형시킨 상태의 물을 자화수 라 합니다.

자화수는 작은 물분자들의 클러스터들이 밀집되어 구조화되어서 세포막 구조나 효소 등 거대분자(MACROMOLECULE)들이 직접 작용하여 대사작용에 관여하게 됩니다.

강력한 자장 에너지 형성 시 물의 분자는 플러스 극성을 가진 수소원자(+)와 마이너스 극성을 가진 산소원자(-)가 서로 붙어서 회전, 신축, 진동 등의 운동을 일으키며 미립자화, 활성화되어 집니다.

이때 물분자의 분자 집단(클러스터)수치가 작아지면서 인접하는 클러스터들이 서로 당기어 구조화를 이룹니다.

물의 클러스터가 작아지고 밀집된다는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친화력 및 침투력이 강해서 세포막의 투과성이 높다.
② 미네랄 또는 음식물에 대한 용해성이 높아서 맛이 좋아진다.
③ 유리 라디칼이 감소하므로 점막이나 피부에 대한 독성이 적어서 많이 마셔도 부담이 없다.
④ 점도가 높아서 피부와 점막을 충분히 촉촉하게 해 준다.
⑤ 생체 내의 완충액(buffer solution)의 기능을 증가시켜서 생체대사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0 자화수의 원리

원리는 원래 깊은 지하에서 샘솟는 약수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흡사합니다. 지하수가 오랫동안 고온과 고압에 의하여 물 분자 배열이 심하게 밀집되면서 용해성 이 증가합니다.

이때 다양한 미네랄 성분이 녹아 있는 상태에서 지상으로 분출되면 이를 약수라 하여 경우에 따라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자화수는 수소원자가 자기장에 자기증명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이용해서 비교 적 신속하게 물 분자를 밀집시킴으로써 앞에 설명 드린 약수와 같은 상태의 물로 바꾸어 진 상태로써 유익한 생체 반응을 나타냅니다.

0 산더수처리 장치

자장의 자력선은, 「N 극」으로부터 「S 극」으로 흐른다.
그 자력을 전기 전도체인 「물」이 직각에 통과하는 것으로 자력선에 대해 직각으로 기전력이 생겨 미세전류가 흐르고, 그 반대의 방향에 전자가 흐른다. 이 전자는 물이 흐르는 힘에 의해 흘러 간다.

이 흘러가는 전자가, 빨강녹 (수산화 제2철)과 결합하여 흑녹 (사·삼산화철)에게 환원되어,
보호막이 되고, 철은 이것에 의해 부식되지 않게 된다.

물의 분자는, 수소원자 (H) 가 2 개, 산소원자 (O) 1 개로 되고, 수소원자는 플러스, 산소원자는 마이너스의 극성을 가져 지금 . 물의 분자는 이 장치의 강력한 자석의 자력선 과 원적외선 에너지를 받는 원리를 이용한다.


물분자[H 2 O]들은 보통 서로 붙어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낮은 에너지 상태에서는 큰 클러스터가 되어 운동에너지가 낮다.

수분은 이 장치를 통과하여 회전(스핀), 신축, 진동 등의 운동을 일으키고 수분의 클러스터가 미립자화하고, 활성화 해 간다. 물이 가지고 있는 침투력, 용해력이 강해지고, 배관에 부착한 빨강녹에 깊게 침투해 제거하는 기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자화수 장치는, "물" 본래가 가지고 있는 침투력과 용해력을 이용해 표면의 빨강녹을 제거하고 흑녹장의 보호막에 의해 배관내의 벽면을 깨끗하게 한다.

물중의 빨강녹원인 물질이 내벽에 부착하는 일없게 그대로 배출되고 녹의 재부착은 일어나지 않도록 되는 것과 동시에, 안전하고, 맛있는 「물」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NMA」(핵자기 공명 장치)로 물을 측정하면 맛있다고 정의되는 물 분자는 분자 운동이 빠르고, 분자 집단 (클러스터) 가 작은 것이 관찰된다.

물은, 수소와 산소로 구성되며 원자를 NMA 에서 관측하면 분자 레벨로 물의 움직임을 잡아진다. 물분자의 운동속도와 주파수(헤르쯔로)를 표현하고, 수치가 작을수록 분자 운동이 빠르고, 클러스터도 작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맛있는 "물"이된다.


0 자화수의 안정성

자화수는 생물학적으로 전혀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정기간 후 정상적인 물로 저절로 환원되어지므로 알레르기 반응이나 중독성이 전혀 의심되지 않습니다.

자화수는 섭취 후 짧은시간 동안만 자화수 특성을 유지하고 신진대사 반응 후에는 신속히 정상적인 물로 환원되므로 자화수를 장시간 계속 사용해도 축적에 의한 부작용이 우려되지 않습니다.


0 자화수의 적합성

현대 문명사회에는 식수의 오염 및 물리적, 화학적 처리에 의한 물 분자 배열의 변형이 생 겨서 식수의 생체 활성화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자화에 의한 물 분자 재배열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본 자화기는 짧은 시간 내에 자화에 의한 생체 활성화수를 제조하는데 적합합니다.


0 자화수의 특징

자기장에 의해 다른 무기질 성분의 염류 도움없이 물 분자의 배열을 바꾸어 물 분자들의 클러스트를 형성, 농축되도록 함으로써 자화수는 인체내의 세포조직을 활성화시켜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일반 물과는 다른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① 자유 유리전자를 갖는 산소라디칼이 감소되어있다. 이는 산소농도가 높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산소 농도가 감소됨을 말합니다.
② 생체 활성도가 높아서 생체의 저항력을 강화 시킵니다
③ 점성을 오래 유지합니다.- 자화수는 증발이 안됩니다.
④ 분자구조가 밀집되어서 늦게 얼고 빨리 녹습니다.
⑤ 용해도가 증가한다.
⑥점도가 증가한다.
⑦전도율이 증가한다.


따라서 자화수는 육각수가 아니라 분자내부에 에너지를 축적하여 육각수보다 더 밀집되고 안정된 구조를 가지므로 생체 반응시에 신속하게 작용합니다.



0 자화수의 물리화학적 연구결과

① 물 분자의 구조화로 밀집된 물 클러스트를 이룬다.
② 점도가 증가하며 이는 K+ 이온의 효과와 유사하다.
③ 전기 전도도가 증가한다.
④ KCI의 용해속도는 증가되지만 NaCl의 용해속도는 감소시킨다.
⑤ 핵 자기공명(NMR) 의 T2 relaxation 시간이 증가한다.
⑥위와 같은 자화수의 현상이 일정기간 동안 유지된다.


0 자화수의 생물의학적 연구결과

① 식물의 성장을 촉진한다.
② 어류의 번식과 성장을 촉진한다.
③ 담석 및 요석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치료효과가 있다.
④ 음식물의 소화 및 흡수가 잘되고 배변 및 배뇨가 수월하다.
⑤ 체내 노폐물(중독물질,분해산물,콜레스테롤)의 배출이 용이해지고 간 기능이 향진된다.
⑥눈물, 땀, 타액 및 장액의 분비가 유지된다.


자화수의 Spin spin relaxation time (T2) 결과 : NMR를 통한 관찰에서 T2 relaxation 증가.

자화수의 점도도 (Viscosity) : 신속한 점도의 증가.

자화수의 전도도(Conductivity) : 전도의 증가.

자화수의 최대 용해속도 (maximum solubility speed) : Nacl 의 뚜렷한 감소. KCI 의 증가.

자화수에 의한 석고 및 Nacl과 KCI의 결정화 양상
: 결정체의 구조가 밀집되어 있으며 신속하게 커다란 결정구조를 이룸.

0 자화수의 산소 용존도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모든 기체는 물 분자의 배열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데 물 분자가 공 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자화수에서 산소 용존도가 감소되는 현상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① 자화수의 산소 용존도 는 자화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② 밀폐시켜서 자화시킨 용기에는 다량의 기체가 방출되었다.
③ 자연생수를 사용하며 제조한 경우 산소 용존도가 감소하였다.


0 자화수의 Free Radical Activity

자화수에서는 수소원자들이 자기장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서 일정한 배열을 하거나 인접하 는 물 분자의 산소원자와 밀접한 수소결합의 관계를 유지하므로 비교적 자유롭게 분산되 어 잇는 free radical과의 결합상태가 약해집니다.

따라서 일반물을 자화함으로서 자화수에 는 free radical이 감소합니다.

자화수에서는 p-nitro-phenylacetate에 의한 발색반응 감소.


0 자화수를 이용한 polymerase chain reaction 과 restriction endonuclease 효소반응

자화수를 사용한 PCR 에서는 DNA 생산량증가.


0 자화수가 생체내의 신진대사에 작용하는 효과

① 자화수의 밀집된 물 배열 상태가 DNA 의 hybridization에 영향.
② 직접적으로 Taq 효소의 활성도를 높임.


0 일반적인 물 분자와 자화수의 물 분자

일반적이 물 분자는 H2O로 구성되어 있는데 물 분자의 구성 상태에 따라서 고체, 액체 및 기체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물 분자의 자유운동 에너지가 최소화되고 분자간의 수소결합이 가장 안정된 위치로 대략 육각형의 구조를 이루게 되면서 물분자는 고체가 되어서 얼음의 상태로 되고 물 분자의 자유 운동 에너지가 매우 커저서 인접하는 물 분자들과의 수소결합 에너지보다 크게되면 물 분자들이 분산되어 지는데 이는 기체 상태입니다.

생물학적으로는 물분자가 액체 상태로 존재할 때 쌍극성의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물 분자가 두 개의 수소 원자와 한 개의 산소 원자를 사이에 두고 대략 141도의 각도로 이루어져, 특징적으로 수소 원자에 의한 두 개의 양극과 산소 원자에 의한 한 개의 음극이 비대칭의 극성을 이룹니다.

물 분자는 액체 상태에서 분자 배열이 자유운동 에너지에 의한 활발한 분자운동이 수소원 자와 수소원자 사이에 양극성 반발력과 산소원자와 산소원자 사이에 음극성반발력, 그리고 수소원자와 산소원자 사이에 수소결합력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서 분자간격이 비교적 느슨하게 배열하게 되는데 액체상태의 물분자가 갖는 쌍극성과 물 분자사이의 충분한 간격의 존재로 다른 극성물질을 함유하는 특성을 갖게 됩니다.

이로써 물은 다른 극성을 용질을 녹이는 대표적인 용매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생 물학적인 용질들을 수용성(hydrophilic) 또는 비수용성(hydrophobic)용질로 크게 나뉘어 집니다.

대부분의 생체 대사 과정 중에는 물 분자의 치환반응에 의하여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 며, 단백질이나 핵산을 합성하거나 분해하는 생화학반응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이러한 물분자의 생화학반응은 물분자가 직접 다른 생체 생체물질 과 반응하여 이 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적당한 buffer기능을 갖는 용질을 필요로 합니다.

반면 자화수는 맥동성 자기장에 의하여 물 분자들이 cluster를 형성하고 농축하는데 이는 다른 무기질 성분의 염류 도움없이 물 분자의 배열을 바꾸어 주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모든 물분자들이 변화하는 자기장에 (맥동성 자기장) 의하여 반응할수 있는데 이 는 수소원자가 450mhz의 강한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되는 magnetic resonance와 구별되는 현상으로 강한 자기장에 의하여 수소원자가 순간적으로 자기장 방향으로 spin배열을 한 후 에 바로 원상 복구되어지지만 계속적으로 수소원자의 spin배열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수소 원자가 물 분자의 쌍극자 특성인 H+에 영향을 주어서 물분자배열에 또한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자화수의 NMR 관찰에서 T2 relaxation time이 증가되어지는 것으로 알수 있습니다.
출처 : 꽝
글쓴이 : 복돌이 원글보기
메모 :